한국인들은 50대 이후 인생의 황혼기에 소비를 통해 여생을 즐길 여유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청ㆍ장년기 시절보다 허리띠를 더욱 졸라매고 있는 처지다. 노후불안과 자녀에 대한 강한 유산상속 의지가 더해지면서 고령층의 저축률 증가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이 1일 현재 가구주 연령 60대 초반인 가계의 저축률을 추적 조사한 ‘50대 이후 저축률 상승의 배경과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30~40대 청ㆍ장년기 때보다 50대 이후저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60세를 넘어선 한 가계의 저축률은 25~29세 연령대에서 9.2%, 30~34세 13%, 35~39세 25.7% 등으로 높아진 뒤 40~44세에 21.6%로 떨어졌고 45~49세에는 18.9%까지 낮아졌다. 그러나 저축률은 50대를 기점으로 ▦50~54세 28.1% ▦55~59세 22.9% ▦60세 이상 32.9% 등으로 높아져 20대나 30대의 비율을 앞질렀다. 통계청의 가구주 연령대별 저축률 통계도 이와 비슷했다. 지난해 55~59세와 60세 이상 저축률은 각각 29.2%와 32.9%로 30세 전후보다 높았다. 20대와 30대의 저축률은 각각 26.4%, 27.0%였다. 윤상하 연구원은 “30~40대에는 결혼과 육아 등으로 소비가 크게 늘어나 저축여력이 없는 반면 자녀의 대학졸업과 교육비 지출이 끝나는 50대부터 다시 저축여력이 회복된다”며 “최근 들어 불안한 노후와 자녀의 결혼비용 마련을 위해 저축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신혼 가구의 자산 중 절반가량이 부모님에게서 받을 만큼 부모들이 50대 이후에도 자녀들의 혼인을 대비해 저축하고 출가 후에는 다시 줄어든 자산을 회복하기 위해 돈을 모으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 국민연금 재정불안 등 고령인구에 대한 우리사회의 안전망이 미비한 점도 고령층 저축의 배경으로 지목됐다. 윤 연구원은 “고령인구의 저축률이 계속 높아지는 것은 개인 차원에서는 미래불확실성에 대비하는 현명한 선택일 수 있지만 국가경제 차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늘어나는 고령층의 저축률 증가가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구조적인 내수부진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한국에서 전체 인구의 17%를 차지하는 베이비 부머 세대(1955~1963년생)들이 이제 본격적으로 50대에 접어들기 시작했다”며 “고령층 저축률 증가현상이 지속될 경우 인구비중이 큰 세대가 고령화함에 따라 우리나라 가계 전반의 저축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예상했다. 갈수록 성장잠재력이 위축되고 가계소득 증가속도도 둔화될 경우 소비감소와 저축증가에 따른 만성적 소비부진이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국민연금 재정안정성 확보, 퇴직연금제 조기정착 등 노후 안정망 강화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50대 이후 고령층이 저축한 돈을 주식이나 부동산 등에 투자할 때 수급불균형에 따른 국지적 버블이 발생하지 않도록 투자수요급증자산 공급을 늘리고 장기투자상품을 적극 개발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