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3사의 매출은 5개월(4∼8월) 연속 감소했다가 추석 성수기의 영향으로 9월에는 소폭 늘었다.
품목별 감소율은 식품이 9.2%로 가장 컸고 의류, 가전·문화 제품은 각각 6.9%, 6.3%였다. 스포츠용품(-5.5%), 가정생활용품(-3.4%), 잡화(-2.8%) 등 주요 품목의 매출이 모두 부진했다.
구매 건수는 4.4%, 구매단가는 2.3% 줄어드는 등 소비자의 구매 행태에서도 영업 부진이 드러났다. 지경부는 경기 침체와 의무휴업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롯데ㆍ현대ㆍ신세계 백화점의 매출은 0.4% 줄었다. 여성정장과 남성 정장의 판매가 10.6%씩 줄었고 잡화 판매도 5.7% 감소했다. 가정용품과 외국 유명상표 제품은 각각 5.6%, 4.8% 늘었다.
1인당 구매단가는 8만4,655원으로 올해 1월에 8만9,652원을 기록한 이후 가장 높았다. 작년 10월과 비교해 구매 건수는 1.6% 증가했지만, 구매 단가는 2.9% 줄었다. 지경부는 세일 기간에 중저가 제품이 많이 판매됐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