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영자총협회는 18일 전국 100인 이상 542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2012년 임금조정 실태' 조사 결과 이처럼 집계됐다고 밝혔다.
고졸 사무직은 월평균 187만5,000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졸 생산직은 이보다 다소 많은 208만4,000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대졸 초임 대비 고졸 생산직 임금 수준은 지난 2008년 78.6%에서 4년 연속 상승하며 올해 81.6%를 기록하는 등 격차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규모별로는 직원 수 1,000명 이상인 대기업이 평균 287만1,000원으로 가장 높았고 중소기업(100~299명)은 223만5,000원으로 나타났다. 300~499명 규모의 중견기업은 246만2,000원, 500~999명 규모 업체는 246만5,000원 등으로 조사됐다.
산업별로는 금융ㆍ보험업이 305만6,000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운수ㆍ창고ㆍ통신업 260만2,000원, 제조업 256만7,000원, 도ㆍ소매업 253만8,000원, 건설업 246만5,000원 등이었다.
한편 올해 임금협상이 타결된 기업들의 평균 임금인상률은 5.1%로 지난해보다 0.3%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은 5.4%의 평균 인상률을 기록했으며 종업원 수 100~299명의 중소기업은 5.0%로 이보다 낮았다.
경총 측은 대선의 영향으로 노동조합의 기대심리가 상승해 교섭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경총의 한 관계자는 "노사 간 협상 횟수가 평균 5.7회로 지난해보다 0.4회 늘었고 협상 기간 역시 0.4개월 증가한 2.2개월로 조사됐다"며 "노조의 임금 인상 요구가 그만큼 많아져 협상이 길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선거가 다가오면 보통 노조에서 높은 임금 인상을 요구하게 된다"며 "대선을 앞둔 올해도 예외가 아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