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후보는 "정치쇄신에 관해 국회에서 여야가, 또는 대선 후보 3자가 합의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고 좋은 일"이라며 이 같은 의사를 밝혔다고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안 후보는 또 "지금 당장이라도 3자가 만나 대선을 치르기 전에 국민께 정치쇄신의 실천을 보여드리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애초 유민영 대변인은 오전 브리핑에서 정치쇄신실천협의기구 구성 제안에 대해 "단일화 논의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후 진행하는 게 맞다"고 말했으나, 안 후보가 이 같은 보고를 받은 뒤 "미룰 일이 아니다"며 수용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안 후보 측에서 김성식 공동선대본부장이 민주통합당 측과 함께 안 위원에게 연락해 이른 시일 내에 정치쇄신과 관련해 합의할 수 있는 과제를 확인할 계획이다.
정치쇄신 특위 위원인 정옥임 새누리당 대변인은 이에 대해 “세 후보의 정치 쇄신안에는 공통분모가 분명하므로 세 후보가 정치 쇄신 단초 만들어야 한다”면서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다만 문재인 민주통합당 측 후보 진성준 대변인은 서울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우리는 안 위원장이 제안할때부터 조건 없이 수용하기로 했다”면서 “특별기구 구성 전에 예비 실무회담하자는 게 우리 주장인데 새누리당 측에서 연락이 없다”고 말했다.
앞서 안 위원장은 4차례에 걸쳐 문재인, 안철수 후보 측과 정치쇄신실천협의기구 구성을 촉구해 왔다. 특히 문 후보 측 요구대로 여야 원내대표 간 협상하되, 무소속인 안 후보 측도 참여시킬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를 비롯한 문 안 후보가 내세운 정치쇄신 방안 중에는 ▦중앙당 공천 기득권 폐지 ▦제왕적 대통령 인사권 축소 ▦국회의원 특권 폐지 ▦권력형 비리 수사 등의 방안이 같거나 비슷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