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성패 여부는 보안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문가들은 보안기술에 대해서는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수준에 올랐다고 평하면서도 규제나 제도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미 시작한 결제시장은 지난해 말부터 간편결제에 맞는 이상거래탐지 시스템(FDS)과 간편결제에 적합한 보안기술을 속속 개발해 적용하고 있다. 성기윤 BC카드 핀테크사업실장은 "간편결제 전용 FDS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가상 카드번호로 결제를 진행, 카드정보 유출 피해를 예방하는 토큰(token)화 방식을 개발해 삼성페이와 네이버페이, 신세계 자체결제 서비스에 적용하는 등 사용범위를 넓히고 있다"고 전했다.
세계로 시야를 넓혀보면 이용자가 특별히 행동하지 않아도 본인 인증을 할 수 있는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최대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사이버보안연구본부 인증기술연구실장은 "국내에서도 안면인식이나 홍채인식 기술은 현재 상당한 수준에 올라와 있고 최근 들어서는 이용자의 뇌파나 심전도, 키보드 사용방식 같은 고유의 행동패턴을 지속적으로 관찰해 본인임을 인증하는 무자각 지속인증 방식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며 "ETRI에서도 무자각 지속인증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생체인증 기술인 FIDO(Fast IDentity Online) 기술을 개발·이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기술력에는 문제가 없지만 이를 활용할 만한 환경은 마련되지 않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었다. 류영준 다음카카오 핀테크사업본부장은 "간편결제 규제 완화가 많이 이뤄졌다는데 현장에는 온기가 전해지지 않는다"며 "특히 게임 아이템이나 카카오 선물하기의 환금성 상품 결제는 공인인증서와 문자 인증을 받도록 한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이 남아 있어 아직 간편결제를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고를 막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고가 난 후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최 실장은 "아이디어 차원이지만 제안하고 싶은 것은 업계든 정부든 주도해서 기금 같은 것을 조성해 핀테크 사업 초기에 사고가 터지더라도 일정 규모까지는 100% 보상해주는 것"이라며 "그래야 IT기업은 다양한 서비스를 머뭇거리지 않고 시도할 수 있고 고객도 새로운 서비스를 걱정 없이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윤선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