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들이 18일 연속 순매도세를 이어가고 있다. 금액으로 치면 5조원이 넘는 막대한 금액이다. 외국인의 거침없는 매도는 연초에도 있었다. 지난 1월 들어 하루를 제외하고 21일간 8조6,000억원가량의 주식을 쉬지 않고 팔았다. 그러나 최근 외국인 매도는 신용위기 외에 걷잡을 수 없는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이에 따른 경기둔화 가시화로 인해 비롯됐다는 점에서 쉽사리 멈추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안전자산에 몰리는 외국인=연초 외국인 매도의 가장 큰 원인은 지난해 서브프라임 위기에서 비롯된 투자은행들의 유동성 부족이었다. 대규모 상각이 이뤄지면서 유동성이 급격히 부족해지자 외국인 투자가들은 이머징 마켓을 비롯한 전세계의 자산을 앞 다퉈 현금화했다. 국내 주식 역시 주요 매도 대상이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공격적인 금리인하를 통한 유동성 공급이 이뤄지고 베어스턴스를 비롯한 미국 대형 투자은행들의 부실상각이 진행되면서 신용위기가 어느 정도 진정세에 접어들었다. 이후 4월 말~6월 초 외국인들은 일시적으로 국내 시장에서 현ㆍ선물을 동시에 매수하며 주가 반등을 견인하기도 했다. 이번 외국인 매도세의 주된 배경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둔화 가시화라는 점에서 연초 집중 매도 이유와는 차원이 다르다. 유가ㆍ원자재ㆍ곡물 등 상품 가격이 오르면서 전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심화되고 각국 중앙은행들이 금리인상을 통해 성장보다는 물가안정 쪽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경기둔화가 현실화하고 있다. 신용위기는 금융 부문에 국한될 수 있는 반면 경기둔화는 기업실적, 즉 주식의 펀더멘털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빠른 회복이 불가능하다. 신용위기가 그냥 폭탄이라면 경기둔화는 투자심리를 옥죄어오는 메가톤급 ‘시한폭탄’이다. 게다가 아직까지도 미국 투자은행들의 부실상각이 이어지고 있어 신용위기도 잔불이 남아 금융시장을 괴롭히고 있다. 안승원 UBS증권 전무는 “이머징 국가들의 소비자물가지수가 급등하고 있어 중앙은행들이 서서히 금리인상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이 경우 경기가 둔화되고 소비자들은 돈을 덜 쓰게 돼 결국 기업들의 실적도 타격을 받는다”고 전망했다. 경기불안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비중이 높아지는 것도 외국인들의 우리나라를 비롯한 ‘셀 아시아’의 원인이다. 황금단 삼성증권 연구원은 “외국인 투자가들의 안전자산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중국ㆍ인도 등 아시아 국가에서 동반 매도 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외국인, 매도세 당분간 계속될 것=올들어 외국인이 국내에서 판 주식은 코스피ㆍ코스닥시장 합쳐서 총 19조2,600억원에 달한다. 과연 외국인 매도세는 언제쯤 진정될 수 있을까. 안 전무는 “아직도 한국의 이머징 펀드 편입 비중이 높은 편”이라며 “경기회복 시그널이 보이지 않으면 외국인은 얼마든지 더 팔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아시아 이머징 국가 중에서 올해 초 저점을 뚫고 하락하지 않은 것은 한국과 홍콩증시뿐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해외 수출 비중이 높아 글로벌 소비 둔화가 본격화되면 기업이익 감소도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당장 2ㆍ4분기 실적에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기둔화가 기업실적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경제 상황이 ‘눈에 띄게’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석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유가가 추세적으로 떨어지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근본적으로 해소돼야 외국인 투자가들의 위험자산 선호, 즉 이머징 국가의 주식 매수가 다시 이뤄질 수 있다”며 “인플레이션은 정책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로 외국인 매도세 역시 당분간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