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사람이 갑자기 죽었다는 소식을 들을 때가 있다. 사고를 당한 경우를 제외하고 돌연사의 이유는 대부분 심혈관질환 때문이다. 전 세계 사망원인 가운데 심혈관질환이 차지하는 비율은 30%로 가장 높다. 예전에는 심혈관질환으로 급사한 경우 '심장마비'로 통틀어 말했지만 요즘은 증상의 원인에 따라 세분해서 부른다. 가장 치명적인 질환들은 피를 보내는 혈관이 막혀 일어난다. 심장에는 심장 자신의 세포에 산소와 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관상동맥이라는 혈관이 존재한다. 심혈관질환 중 가장 위험한 '급성 심근경색'은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막혀 심장 세포가 죽는 병이다. 급성 심근경색이 일어난 지 2시간이 지나면 심장 세포가 산소 공급을 받지 못해 죽기 시작하고 심장이 멈춰 사망에 이르게 된다. '협심증'은 심근경색과 비슷하지만 정도가 약한 증상이다. 심장 세포가 죽을 정도는 아니지만 관상동맥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심장 근육에 통증이 발생한다. 협심증은 주로 몸을 움직이다가 심장에 무리가 가면 발생한다. 따라서 운동할 때 통증이 오면 협심증, 쉴 때 오면 심근경색일 가능성이 높다. '뇌중풍(뇌졸중)'도 심근경색이나 협심증과 같이 혈관이 막혀 발생한다. 단, 뇌중풍은 심장이 아니라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뇌혈관의 일부가 막혀 발생한다. '부정맥'은 심장의 정상 리듬이 깨진 상태를 말한다. '정'한대로 '맥'이 뛰지 않는다고 해서 부정맥이라 부른다. 이때 심장은 분당 60~100회보다 빨리 뛰거나 천천히 뛰고, 뛰는 속도가 불규칙하게 되기도 한다. 부정맥은 외부에서 전기 자극을 가해 인위적으로 심장을 '재부팅'해 치료한다. 심장의 구조가 잘못돼 있어도 병이 생긴다. 심장판막증은 심장에서 혈액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해주는 판막에 문제가 생긴 병이다. 피가 역류하기 때문에 심장에 무리가 가서 붓게 된다. 심실중격결손은 심장의 각 부분을 구분하는 칸막이에 구멍이 뚫린 경우다. 심실 벽에 구멍이 뚫리면 깨끗한 피와 더러운 피가 섞인다. 피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 병은 선천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유아기에 발견해서 수술로 치료해야 한다. 좋은 치료약이 계속 개발되고 있지만 심혈관질환의 가장 좋은 치료법은 평소 적절한 운동과 식습관으로 피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점심시간을 이용해 가벼운 산책이라도 당장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