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은 9일 지난 1~3월 대검찰청, 경찰청, 금융기관 등을 사칭한 피싱사이트가 전년 같은기간(13건)보다 93배이상 많은 1,218건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기관 사칭 피싱사이트 적발건수는 지난 2006~2010년 5년동안 총 20건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1,849건에 이어, 올들어 1·4분기에만 지난 한해의 66%에 달하는등 적발 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이후 사칭기관별 건수를 보면 검찰ㆍ경찰 등 사법기관이 약 77%로 가장 많으며, 금융감독원 및 은행 등 금융기관도 21%에 달했다. 특히 인터넷 보안 담당기관인 인터넷진흥원까지 사칭해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발생했으니 보안승급 후 이용’하라거나, ‘인터넷진흥원의 주민번호 클린센터에서 주민번호 유출을 확인’하라며 피싱사이트 주소(URL)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보내 접속을 유도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인터넷진흥원 관계자는 “전화나 이메일로 사기사건 연루, 카드대금 연체 등을 들어 피싱사이트에 주민번호, 계좌번호, 보안카드번호 등을 입력하게 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피싱 사이트는 대부분 미국, 홍콩, 중국 등 해외에 개설돼 있으며 확인 즉시 해당 사이트로의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고 인터넷진흥원은 설명했다.
진흥원 관계자는 “피싱은 개인정보 탈취뿐만 아니라 불법적 계좌이체, 대출사기 등 금전적 피해로 이어진다”며 “전화나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특정 사이트의 접속을 요구 받으면 해당 기관에 직접 연락해 사실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