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동결(0~0.25%)을 결정했다. 통화정책 결정문을 보면 두 가지 특징이 있다. 우선 글로벌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 문구가 결정문에 새롭게 포함됐다. 연준은 지난 7~8월 불거진 신흥국 금융시장 불안이 미국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아울러 미국 국내 경제에 대해 개선된 전망이 없다는 점이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올 6월보다는 상항 조정했지만 이는 이미 발표된 2·4분기 경제성장률을 반영한 수준에 불과했다. 재닛 옐런 미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오는 10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원론적인 발언으로 평가된다. 경기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지 불과 한 달 만에 금리를 인상하려면 매우 강력한 지표 개선이 필요하다. 물리적으로 시간도 부족한 상황이다. 예를 들어 실업수당 건수 증가를 보더라도 10월 초에 발표될 9월 고용지표가 금리인상에 대한 확신을 주기는 어려워 보인다.
옐런 의장은 10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실제로는 12월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 연준이 이례적으로 중국 및 신흥시장 경제의 우려를 언급했는데 이는 중국 및 신흥시장 불안이 지속된다면 금리인상 시점이 보다 늦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준의 이 같은 판단은 단기적으로는 신흥국 주식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연준이 연내 금리를 인상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면 이는 중국 및 신흥국의 디플레이션 우려 및 성장둔화 우려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외국인 자금의 유입을 조심스럽게 점치면서도 단기적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국내 기업의 실적부진 때문에 외국인은 달러 차입비용 및 원화강세 여부를 보고 투자를 결정하고 있다. 최근 원화약세가 진정되고 있지만 추세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미 코스피지수는 'V자형 반등'을 통해 올해 고점 대비 하락폭의 절반가량을 회복했다. 현재 수준에서 추가적으로 상승할 경우에는 국내 투자자의 차익실현 매물이 대거 쏟아지며 지수의 상승탄력은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 업종별로는 당분간 박스권 흐름을 감안해 투자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코스피지수가 박스권 상단에 이를 때까지는 에너지·소재·산업재 등 미국 달러약세 수혜주 및 낙폭과대 성장주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또 지수가 다시 약세로 돌아설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원화약세 수혜주, 배당주, 경기방어주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 유리해 보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