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후 3:20 현재 코스피는 36:6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비금속광물업(4.18%↓)
증권 News봇 2024.12.09 15:20:299일 오후 3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66.92p(-2.76%) 하락한 2361.24로, 36(매도):6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철강금속업(-9.80%), 건설업(-5.61%), 화학업(-4.9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광물업이 22:78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49:51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 동반 매수세를 보이고 있으나, 개인의 '팔자' 기조에 밀리고 있다. 외국인은 228억, 기관은 7,095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8,250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일성건설(013360)이 29.98% 오른 3,620원을 기록 중이고, 이스타코(015020)(+29.98%), 오리엔트바이오(002630)(+29.94%)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에스엠벡셀(010580)(-17.15%), 고려아연(010130)(-14.67%), DS단석(017860)(-14.4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874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5개 종목을 포함해 5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30 현재 코스피는 37:63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비금속광물업(3.71%↓)
증권 News봇 2024.12.09 14:30:189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60.31p(-2.48%) 하락한 2367.85로, 37(매도):6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철강금속업(-10.01%), 건설업(-4.93%), 화학업(-4.5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광물업이 17:83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45:55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기관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기관은 6,107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개인은 6,723억, 외국인은 323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일성건설(013360)이 29.98% 오른 3,620원을 기록 중이고, 이스타코(015020)(+29.98%), 형지엘리트(093240)(+29.82%)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범양건영(002410)(-17.12%), 고려아연(010130)(-15.72%), 에스엠벡셀(010580)(-15.3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873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3개 종목을 포함해 5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마감 시황] 개인, 1.2조 원 던져…코스닥 5%대 급락
증권 국내증시 2024.12.09 14:04:50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여파에 따른 정국 불안으로 개인 투자자들의 투매가 이어지며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 모두 하락 마감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5% 넘게 급락하며 2020년 4월 14일 이후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7.58포인트(2.78%) 하락한 2360.58에 거래를 마치며 지난해 11월 2일 이후 최저치를 경신했다. 이날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는 도합 1287개 종목이 52주 신저가를 경신했다. 전체 2631개 종목 중 절반에 해당하는 수치다. 코스피 지수는 이날 전 거래일 대비 35.79포인트(1.47%) 내린 2392.37에 출발해 낙폭을 키워 나갔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는 개인 투자자들이 홀로 8897억 원어치를 순매도하며 주가를 끌어 내렸다. 기관 투자가들이 6919억 원어치를 사들이며 방어에 나섰지만 지수 하락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개인들의 투매 행렬에 코스피 지수는 장중 한때 2360선이 붕괴될 위협에 직면하기도 했지만 장 마감 직전 외국인 투자가들이 순매수로 전환하며 하방을 막았다. 이날 외국인 투자가들은 코스피 시장에서 1009억 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일부 정치 테마주를 제외한 모든 업종의 주가가 하락 마감했다. 윤 대통령의 탄핵 가능성이 거론되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관련 업종의 주가가 널뛰었다. 동신건설(025950), 에이텍(045660), 오리엔트정공(065500), 안랩 모두 주가가 30% 가까이 상승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주말 중 탄핵안 표결 무산으로 정국 혼란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은 주 초반부터 주가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증시가 역사적 저점 부근까지 하락했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주주 변동성 장세에서 발생할 수 있는 투매에 동참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4.32포인트(5.19%) 급락한 627.01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 지수가 5% 넘게 빠진 건 지난 8월 5일 ‘블랙 먼데이’ 사태 이후 처음이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개인들이 홀로 3017억 원어치를 팔아 치웠다. 외인과 기관이 각각 2049억 원어치와 1002억 원어치를 사들이며 분전했으나 지수 급락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
오후 2:00 현재 코스피는 39:61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비금속광물업(3.46%↓)
증권 News봇 2024.12.09 14:00:189일 오후 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57.46p(-2.37%) 하락한 2370.70로, 39(매도):6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철강금속업(-9.10%), 건설업(-4.61%), 화학업(-4.4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광물업이 19:8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60:40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기관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기관은 5,629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개인은 6,440억, 외국인은 131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이스타코(015020)가 29.98% 오른 1,691원을 기록 중이고, 형지엘리트(093240)(+29.82%), 일성건설(013360)(+28.90%)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고려아연(010130)(-14.07%), 범양건영(002410)(-13.08%), 코오롱글로벌우(003075)(-12.8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866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6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30 현재 코스피는 36:6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비금속광물업(3.44%↓)
증권 News봇 2024.12.09 13:30:179일 오후 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58.27p(-2.40%) 하락한 2369.89로, 36(매도):6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철강금속업(-11.21%), 건설업(-4.70%), 화학업(-4.5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광물업이 19:8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55:45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기관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기관은 5,206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개인은 5,958억, 외국인은 161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이스타코(015020)가 29.98% 오른 1,691원을 기록 중이고, 형지엘리트(093240)(+29.82%), 오리엔트바이오(002630)(+27.91%)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고려아연(010130)(-18.59%), 체시스(033250)(-14.02%), 태양금속(004100)(-13.2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867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63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00 현재 코스피는 36:6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비금속광물업(3.58%↓)
증권 News봇 2024.12.09 13:00:169일 오후 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58.35p(-2.40%) 하락한 2369.81로, 36(매도):6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철강금속업(-10.60%), 건설업(-4.78%), 화학업(-4.66%)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광물업이 16:84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53:47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기관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기관은 4,726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개인은 5,463억, 외국인은 72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이스타코(015020)가 29.98% 오른 1,691원을 기록 중이고, 형지엘리트(093240)(+29.82%), 일성건설(013360)(+29.44%)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고려아연(010130)(-17.43%), 태양금속우(004105)(-15.72%), 체시스(033250)(-14.0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868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6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30 현재 코스피는 39:61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비금속광물업(3.41%↓)
증권 News봇 2024.12.09 12:30:139일 오후 1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51.63p(-2.13%) 하락한 2376.53로, 39(매도):6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철강금속업(-10.06%), 건설업(-4.42%), 화학업(-4.3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광물업이 26:74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타업은 59:41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 동반 매수세를 보이고 있으나, 개인의 '팔자' 기조에 밀리고 있다. 외국인은 97억, 기관은 4,536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5,331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이스타코(015020)가 29.98% 오른 1,691원을 기록 중이고, 써니전자(004770)(+29.73%), 형지엘리트(093240)(+29.19%)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고려아연(010130)(-16.71%), 태양금속우(004105)(-14.21%), 태양금속(004100)(-13.9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860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6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정오 시황] 코스피 2374.80, 하락세(▼53.36, -2.20%) 지속
증권 News봇 2024.12.09 12:00:23코스피이 개인의 '팔자' 기조에 장 중반에도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9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53.36p(-2.20%) 내린 2374.80로, 39(매도):6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 동반 매수세를 보이고 있으나, 개인의 '팔자' 기조에 밀리고 있다. 외국인은 45억, 기관은 4,382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5,051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업종별로는 철강금속업(-10.15%), 건설업(-4.31%), 화학업(-4.15%) 등 대부분의 업종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으며, 등 일부 업종만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종목별로는 삼성전자가 0.74% 내린 5만 3700원에 거래되는 가운데, 고려아연(010130)(-16.99%), 범양건영(002410)(-13.27%), 대상홀딩스우(084695)(-11.23%)도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이스타코(015020)(+29.98%), 써니전자(004770)(+28.89%), 형지엘리트(093240)(+28.87%) 등은 상승 출발했다.현재 하락종목은 859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7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30 현재 코스피는 37:63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비금속광물업(3.22%↓)
증권 News봇 2024.12.09 11:30:109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48.23p(-1.99%) 하락한 2379.93로, 37(매도):6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철강금속업(-9.75%), 건설업(-4.04%), 화학업(-3.9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광물업이 20:80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55:45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 동반 매수세를 보이고 있으나, 개인의 '팔자' 기조에 밀리고 있다. 외국인은 131억, 기관은 3,980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4,628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이스타코(015020)가 29.98% 오른 1,691원을 기록 중이고, 진양산업(003780)(+29.87%), 형지엘리트(093240)(+26.97%)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고려아연(010130)(-16.55%), 범양건영(002410)(-13.08%), 대상홀딩스우(084695)(-12.0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851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77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00 현재 코스피는 36:6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비금속광물업(3.21%↓)
증권 News봇 2024.12.09 11:00:139일 오전 1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42.75p(-1.76%) 하락한 2385.41로, 36(매도):6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철강금속업(-9.77%), 화학업(-3.76%), 건설업(-3.7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광물업이 19:8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종이목재업은 43:57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 동반 매수세를 보이고 있으나, 개인의 '팔자' 기조에 밀리고 있다. 외국인은 206억, 기관은 3,682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4,324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이스타코(015020)가 29.98% 오른 1,691원을 기록 중이고, 진양산업(003780)(+29.87%), 써니전자(004770)(+29.73%)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고려아연(010130)(-16.77%), 범양건영(002410)(-13.65%), 태양금속우(004105)(-12.0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850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3개 종목을 포함해 73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고려아연 2조 자사주, 대차거래 의결권 부활 가능성에 MBK 반발[시그널]
증권 IB&Deal 2024.12.09 10:47:39MBK파트너스와 영풍이 고려아연 자사주 12.3%를 즉시 소각해야 한다고 9일 강조했다.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이 해당 자사주 지분을 소각하지 않고 대차거래를 통해 의결권 부활을 노릴 것이란 시장 일각의 관측이 나오자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앞서 고려아연은 지난 10월 외부에서 차입금 약 2조 원을 조달해 자사주 공개매수를 단행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자사주 9.9%를 신규 취득했다. 기존 2.4%를 포함하면 총 12.4%에 해당하는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다. 자사주 공개매수 당시 최 회장과 이사회는 자사주 취득 목적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소각이라고 명시했다. MBK·영풍 관계자는 “소각을 전제로 회사가 빌린 약 2조 원의 자금으로 자기주식 공개매수를 한 지 50일이 넘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소각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면서 “시장에서는 우리사주조합이나 근로자복지기금 활용 등 최 회장 경영권 방어에 부당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추측이 끊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어 “심지어는 대차거래를 통해 의결권을 부활시켜 임시주총 표대결에 나선다는 예측까지 나온다”며 “최 회장은 즉각 약속했던 자사주 소각을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사주는 관련법상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지만 제 3자에게 처분하면 의결권이 되살아 난다. 다만 자사주는 취득 후 6개월 내 처분을 할 수 없다. 자사주 취득을 경영권 방어 수단 등 특정주주의 이익을 위한 목적으로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대차거래는 주식 소유자가 보유 주식을 차입자에게 일정 기간 대여해 주는 거래다. 이 경우 의결권은 주식을 빌려간 차입자가 행사하게 된다. 만약 고려아연이 자사주를 최 회장 측 우호세력과 대차거래한다면, 최 회장 측이 주주총회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고려아연은 이에 대해 사실 무근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고려아연은 “자사주 대차거래라는 것이 있다는 것 자체를 알지 못했다”며 “이는 MBK와 영풍 측이 존재하지 않는 가공의 상황을 임의로 만들어 마치 실재하는 것처럼 확산시킴으로써 고려아연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위한 의도임이 분명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MBK와 영풍 측의 허위사실 배포 이후 법무팀 결과 자본시장법상 자기주식은 취득일로부터 6개월간 처분이 금지되며 그 대상은 '대차거래'도 포함된다는 것이 법조계의 기본 상식임이 확인됐다”고 부연했다. 한편 MBK·영풍과 최 회장 측은 내년 1월 23일 예정된 고려아연 임시 주주총회에서 표대결을 앞두고 있다. 현재 고려아연 이사회는 총 13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장형진 영풍 고문 외 12명이 모두 최 회장 측 인사들로 분류된다. 이번 임시 주총에서 영풍·MBK 연합 측 인사들이 이사회 진입에 성공하면 회사 지배구조가 재편될 가능성이 있다. 임시 주총 날짜가 확정되면서 주주명부도 오는 20일 폐쇄된다. -
[오전 시황] '탄핵 부결 여파' 코스피, 2400밑으로 추락…장중 52주 신저가
증권 국내증시 2024.12.09 10:30:31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이 부결돼 증시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자 코스피지수는 2400밑으로 추락, 장중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지난 8월 증시가 급락했던 ‘블랙 먼데이’ 당시보다 증시가 더욱 약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지수는 이날 오전 10시께 전 거래일 대비 31.63포인트(1.30%) 내린 2396.53을 기록하고 있다. 지수는 장중 2374.07까지 하락하면서 52주 최저가 기록을 갈아치웠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이날 외국인투자가가 173억 원, 기관투자가가 3302억 원을 순매수하고 있는 반면 개인이 3730억 원을 순매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005930)(0.55%), SK하이닉스(000660)(0.48%), LG에너지솔루션(373220)(1.15%),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0.42%)가 소폭 상승 중인 가운데, 현대차(005380)(-0.74%), 셀트리온(068270)(-0.72%), 기아(000270)(-2.22%), 고려아연(010130)(-10.09%), KB금융(105560)(-3.99%), 네이버(NAVER(035420))(-0.73%)가 약세다. 지수가 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매수세는 정치인 테마주로 몰리고 있다. 특히 동신건설(025950)(17.82%), 에이텍(045660)(14.75%), 오리엔트정공(065500)(29.84%), 토탈소프트(045340)(13.26%) 등 이 대표 테마주로 묶이는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여당인 국민의힘이 탄핵소추안 표결에 불참, 2선 후퇴를 시사한 윤 대통령 대신 한 대표와 한 총리가 국정 운영에 나서겠다고 밝혔지만, 투자자들은 탄핵 쪽에 무게를 두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주말 중 탄핵안 표결 무산으로 정국 혼란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은 주 초반부터 주가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증시가 역사적 저점 부근까지 하락했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주주 변동성 장세에서 발생할 수 있는 투매에 동참하는 것은 지양해야한다”고 말했다. 코스닥지수는 이날 전 거래일 대비 20.28포인트(3.07%) 내린 641.05를 기록하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205억 원, 기관이 355억 원을 순매수하는 반면 개인이 558억 원을 순매도하고 있다.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은 에코프로비엠(247540)(1.55%), 에코프로(086520)(2.12%), HLB(028300)(0.83%)를 제외하고 알테오젠(196170)(-3.76%), 리가켐바이오(141080)(-4.97%), 엔켐(348370)(-2.60%), 휴젤(145020)(-4.15%), 클래시스(214150)(-3.92%) 등 상위 종목이 대체로 약세다. -
오전 10:00 현재 코스피는 39:61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2.16%↓)
증권 News봇 2024.12.09 10:00:139일 오전 10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1.51p(-1.30%) 하락한 2396.65로, 39(매도):6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철강금속업(-6.41%), 건설업(-3.54%), 비금속광물업(-2.94%)이며, 강세업종은 전기전자업(+0.2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27:73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음식료품업은 47:53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 동반 매수세를 보이고 있으나, 개인의 '팔자' 기조에 밀리고 있다. 외국인은 297억, 기관은 3,276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3,794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이스타코(015020)가 29.98% 오른 1,691원을 기록 중이고, 써니전자(004770)(+24.36%), 오리엔트바이오(002630)(+14.68%)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범양건영(002410)(-10.96%), 고려아연(010130)(-10.42%), 태원물산(001420)(-9.7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849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7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尹 탄핵정국' 후폭풍 속 '이재명 테마주' 신고가…"상장사 3분의 1은 52주 신저가"
증권 국내증시 2024.12.08 07:56:51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이후 거센 후폭풍이 몰아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증시가 휘청이면서 전체 상장 주식의 3분의 1이 52주 신저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비상계엄 사태 이후 첫 거래일인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장중 52주 신저가를 기록한 종목은 953개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종목 수(30개)와 비교할 때 약 32배가량 많은 수치로 이는 현재 거래 중인 코스피와 코스닥시장 전체 상장 종목(2631개)의 36%에 달한다. 시장별로 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267개, 코스닥시장에서 686개 종목이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52주 신저가 비율은 코스닥이 41%로 코스피 28%보다 훨씬 높았다. 계엄 사태로 현 정부가 추진 중인 대왕고래 사업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지난 6일 동양철관(590원), 디케이락(6240원) 등 관련 테마주는 줄줄이 52주 신저가를 경신했다. 한국ANKOR유전(265원), 우진엔텍(1만4140원) 등 원전주도 신저가를 기록했다. 윤석열 정부의 체코 신규 원자력 발전소 수출 등 국정 과제의 동력이 상실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면서다. 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테마주인 이스타코(1301원), 일성건설(2950원), 동신건설(4만5800원) 등은 지난 6일 줄줄이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테마주인 토탈소프트(9000원) 역시 52주 신고가를 새로 썼다. 뿐만 아니라 MBK·영풍 연합과 지분 경쟁을 벌이고 있는 고려아연도 지난 6일 장중 240만원을 돌파하며 신고가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지난 3일 저녁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코스피는 사흘 연속 내렸는데 이 기간 하락률은 2.88%에 달한다. 같은 기간 코스닥지수는 4.27% 급락했다. 외국인이 이 기간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90억원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증권가에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산재한 가운데 당분간 증시 약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탄핵 표결 결과와 상관 없이 국내 증시의 변동성이 쉽게 사그라들지는 않을 것”이라며 “한 번 시장의 신뢰가 떨어지면 회복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기에 코스피 약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상황을 짚었다. 그간 악재가 많이 반영된 만큼 코스피 하단은 지지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사태 수습 과정에서 정치적 불확실성의 여진은 불가피하지만, 계엄령 이상의 심리적인 충격 유입은 어렵다”며 “예상치 못한 악재까지 반영한 코스피의 추가 하락폭은 제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이복현 “정치 상황 상관없이 밸류업 이행에 힘쓸 것"
증권 국내증시 2024.12.06 20:38:51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6일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해 사전에 통보를 받지 못했다며 충격을 받았다고 털어놨다. 이 원장은 고려아연을 둘러싼 경영권 분쟁과 관련해서도 MBK파트너스 측이 장기비전을 보여주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이날 오후 블룸버그TV에 출연해 “탄핵이나 정권 교체, 정치적 불안정 상황과 상관없이 밸류업 프로그램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은 앞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통해서도 기업지배구조 개선, 밸류업 프로그램, 외환시장 선진화 방안,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등 현재 추진 중인 과제를 흔들림 없이 이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내 금융·외환시장 불안 확산을 막기 위해 10조 원 규모의 증권시장안정화펀드를 언제든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하는 등 각종 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이 원장은 “아직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증안펀드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했다. 특히 이 원장은 이번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충격을 받았다”면서도 “사전에 어떤 것도 통보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날 이 원장은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원장은 “MBK파트너스가 주주들에게 기업 유지에 대한 장기 비전을 설득할 수 있다면 임시 주주총회에서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원장은 “고려아연 같은 사업은 20년 이상 시간을 고려해야 하지만 사모펀드는 10년 기한으로 움직인다”며 “MBK파트너스는 정부는 물론 산업계와 투자자들에게 한국 제조 생태계의 중요한 산업을 유지할 것이라고 설득해야 한다”고 했다. 이 원장은 지난달 28일 은행지주 이사회 의장들과 간담회 직후에도 MBK파트너스의 고려아연 경영과 관련해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낸 바 있다. 당시 이 원장은 “금융자본이 산업자본을 지배하는 것에 대한 부작용을 고민해 본적이 있었나 생각해봐야 한다”며 “5~10년 안에 사업을 정리하는 형태의 금융자본이 산업자본을 지배하게 됐을 때 산업규모가 총괄로 유지되지 않고 주요 사업을 분리매각하거나 주주가치 훼손이 있지 않은지 고민해 보겠다”고 말한 바 있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