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9년 경기도 성남에 거주하는 안 모씨는 바로 이 엔돌핀을 인위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 ‘엔돌핀 호르몬 발생장치’로 특허를 신청했다.
이 아이디어는 인간의 뇌가 각 세포들의 전기신호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한다는 사실에 기반하고 있다. 즉 이 장치는 엔돌핀을 만들어내라는 세포들의 전기신호를 완벽히 재현한 것으로 언제든 엔돌핀 생성이 가능하다는 것이 출원인의 설명이다.
출원서에 따르면 그는 SUS304 합금과 SUS321 합금을 소재로 직경 1.2mm의 원형 케이블을 제작한 후 이를 400℃에서 약 5초간 열처리 하는 방식으로 이 같은 효과를 얻었다. 사용자는 이 케이블을 두 손바닥 사이에 놓고 상하좌우로 흔들어주기만 하면 뇌에서 엔돌핀 분비가 일어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하지만 출원인은 이 장치의 엔돌핀 생성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그 어떤 데이터도 제공하지 않았고 특허청은 효과가 증명되지 않은 이 아이템에 거절 의사로 응답했다.
전문가들은 설령 이 장치의 효과가 일부 인정됐더라도 실질적인 상업화 가능성은 매우 낮았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구태여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인간은 누구나 자신이 원할 때 아주 손쉽게 엔돌핀을 분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크게 웃는 것이 바로 그것으로 우리의 뇌는 억지웃음을 웃을 때도 엔돌핀을 분비해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