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 돌연변이가 인류에게 귀중한 선물을 안겨주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미국 국립인간게놈연구소(NHGRI)의 일레인 오스트랜더 박사는 최근 치와와, 말티즈, 요크셔테리어 등 작고 귀여운 소형견들이 유전자 돌연변이의 산물이라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사이언스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핸드백에 쏙 들어가는 치와와부터 송아지만한 그레이트 데인에 이르기까지 총 143종 3,000여마리의 개 DNA를 분석한 결과, 몸무게 9kg 이하의 모든 소형견에서 몸 크기를 결정하는 ‘유사 인슐린 성장인자(IGF-1)’에 돌연변이 형질이 발견된 것.
이 유전자는 사람을 포함한 모든 포유류에서 출생 직후 청소년기까지의 성장에 관여하는데 소형 견들은 15번 염색체에서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가 발생, 성장이 억제됐다는 설명이다.
사실 고양이, 원숭이, 호랑이, 토끼 등 지구상에 존재하는 포유류 중 동일한 종(種)에 속하면서 크기가 천차만별인 동물은 오직 개 뿐이다. 학자들에게는 짧은 기간 내 이처럼 개들의 외형이 크게 달라졌다는 사실이 진화적 관점에서 커다란 의문으로 남아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이 궁금증이 해결됐다.
오스트랜더 박사는 “돌연변이는 약 1만2,000년 전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며 “개의 조상인 늑대가 처음 길들여졌을 때 나타난 현상이거나 작은 늑대의 유전자가 전이된 결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