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과학기기 장비코너] 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外

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Agilent 2100 Bioanalyzer

세계 최초의 상용 lab-on-a-chip 분석기

Agilent 2100 Bioanalyzer는 lab-on-a-chip 기술을 기반으로 한 최초 상용 분석 장비로 핵산(DNA, RNA, 단백질)의 크기와 농도를 한번에 자동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겔(Gel)을 이용한 기존의 분석 방법에서는 겔의 제작, 전기영동, 밴드의 검출, 데이터 해석 등의 과정에서 각각의 장치를 이용했으나, 이 장비를 통해 마이크로칩 안에서 샘플 처리, 분리, 검출 전 과정을 자동으로 한번에 수행하여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전기영동 패턴은 모두 디지털 결과로 컴퓨터에 자동 보존되므로 데이터의 공유나 비교, 해석이 매우 용이하다.

이 장비는 지난 1999년 출시된 이래로 기존의 소모적인 수동 프로세스의 일반 젤보다 빠르고 재생 가능하며 정확하다는 것이 입증됐다.

Agilent 2100 Bioanalyzer는 PCR제품, 제한효소 분해산물, RNA 및 다양한 핵산 물질을 분석하는 생명과학 연구 분야에 빠른 분석, 샘플 소모량 감소, 분석결과의 재현성, 표준분석법, 디지털 결과, 다양한 분석결과 처리 등의 성능으로 실험실에 획기적인 생산성 향상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준비된 LapChip 을 장착하여 분석을 진행하는 기기로서 모든 작동은 컴퓨터에 의해 이루어지며, 주요 구성원은 시료의 주입, 분리를 유도하는 16개의 전극과 분리된 밴드를 검출하는 형광 유도 레이저(laser-induced flourescence) 그리고 반응온도 셋팅을 위한 가열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핵산 분석을 위한 전용 마이크로칩과 필요한 모든 시약(겔 매트리스, 염색시약, 내부표준물, 외부표준물)이 하나의 키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비를 통한 분석결과는 두 가지 형태(겔-전기영동 이미지, 크로마토그래피 같은 electropherogram)로 실시간 볼 수 있으며, 자동으로 피크를 확인해 핵산의 크기와 농도를 디지털로 나타내며 겔 이미지 영상과 데이터 파일을 쉽게 전송할 수 있다.

특히, Agilent 2100 Bioanalyzer는 기존의 겔-전기영동 분석법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단위 시간당 분석 샘플 수가 증가하는 등 빠른 분석결과를 획득할 수 있고 전자동 분석으로 작동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적은 양의 시료를 사용해 희소성의 샘플 분석에 유리하며, 유해 폐기물 발생량 감소, 유해한 시약의 사용량이 매우 적어 작동자의 건강을 보호한다.

www.agilent.co.kr

1588-5522


영린기기

순수·초순수 제조장치 aquaMAX series

수질 향상 및 비용절감 효과 탁월

순수·초순수 제조장치는 실험실이 있는 곳 이라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영린기기가 독자 개발한 aquaMAXTM series는 실험실용 필수 아이템인 1차, 2차, 3차 순수를 제조하는 시스템이다.

비저항값 0.003M .cm의 수돗물에서 Prefilter를 통과하여 물속의 입자를 제거하고, Activated Carbon filter를 통해 염소가 제거된다.

이 과정을 통해 전처리된 물은 Booster pump에 의해 가압되고 다시 역삼투 카트리지를 통과하여 1차 RO수(0.2~0.5M .cm)가 제조된다.

또한 deionization filter에 의해 양이온과 음이온이 제거되면서 2차 이온교환수(~10M .cm)는 2차 증류수 이상의 수질을 가진다.

초순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초순수 제조장치인 aquaMAXTM-Ultra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제조장치는 비저항 18.2M .cm이상을 유지하면서 99.99% 이상의 무기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UV filter를 장착함으로써 유기오염물질(TOC<5ppb)을 제거하여 분석급 시약의 제조용에 적합한 초순수를 제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F filter를 이용하면 pyrogen을 0.005 Eu/ml 이하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미세한 생명과학 실험에 적합하다.

올해 상반기에 출시될 새로운 순수·초순수 제조장치는 지난 8년간 축적되어온 기술을 바탕으로, 기존에 개발된 순수 및 초순수 제조장치에 고객 위주의 제조 및 설계기술을 적용하여 최상의 수질을 공급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최대화했다.

필터 교체의 번거로움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직접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며, 영린기기의 독자기술로 개발된 필터는 수질을 향상시키고 유지비용을 낮추었다.

또한, New aquaMAX 순수·초순수 제조장치는 기존 판금형에서 플라스틱형으로 탈바꿈함으로써 순수·초순수 제조장치의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외관이 미려한 디자인으로서 거듭난다.

영린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원터치 방식의 Prefilter와 Activated Carbon Filter는 일반적 filter의 짧은 교체 주기를 극복하고 필터수명이 2배 이상 연장됐다.

www.younglin.com

1544-3744




바이오스페이스

체성분 분석기 인바디 720

부위별 직접 다주파수 측정법 구현

바이오스페이스가 개발한 체성분분석기 인바디720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비밀은 미국, 일본, 유럽, 한국, 캐나다에서 특허로 보호받고 있는 4전극 8점 터치식 체성분분석기로 DSM-BIA 방식이라는 독자기술에 있다.

종래의 장비들은 2전극을 이용하여 전압·전류를 측정하였으나 이는 접촉저항이 크고 인체를 부위별로 측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는데 비해, 바이오스페이스는 4전극을 이용하여 전압·전류를 분리 측정해 접촉저항을 줄이고 전극 수를 8개로 늘여 전류·전압을 교차 측정하여 각 부위의 임피던스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

최고의 기능과 품질을 자랑하는 인바디 720은 체성분분석기 기술의 절정이며 6개의 다주파를 통해 보다 정확하게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기본적인 체성분 측정값 외에 신체균형, 부종지수는 물론 내장지방 단면적을 보여주기 때문에 성인병의 위험을 예진할 수 있다.

인바디720이 체내에 미세한 전류를 흘려 보내면 체수분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때 신체 저항값(Inpedance)을 측정하여 체수분의 부피를 구해낸다.

이 신체저항값(BIA)을 얼마나 정밀하게 측정하느냐가 체성분분석기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인바디720의 기술적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부위별 직접 다주파수 측정법, DSM-BIA 방식을 통해 임피던스 측정의 핵심인 몸통 임피던스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세포 내·외 수분을 정확히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체수분의 불균형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둘째로, 8점 터치식 전극법을 통해 8개의 전극으로 임피던스값을 부위별로 직접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할 때 전극이 닿는 위치에 따라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일 지점 측정으로 재현도를 보장한다.

마지막으로 경험변수를 배제한다는 점이다. DSM-BIA방식으로 임피던스 측정의 핵심인 몸통을 정확하게 분리 측정하기 때문에 체성분을 추정할 필요가 없다.

biospace.co.kr 02-501-3939

영화과학

Orion ROSS pH전극

온도변화가 심한 시료에도 빠르고 정확한 감응

pH 측정에 사용되는 기준전극은 일반적으로 칼로멜 또는 염화은(AgCI)을 사용하는데, AgCI 기준전극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전극 시스템은 온도에 따라 전극내의 AgCI의 용해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기준전극에 의해 측정되는 전위값이 변하게 된다.

또한 온도에 따라 기준전극 내부의 침전물이 용해되거나 또는 용액 밖으로 용출되어 새로운 평형에 도달하기 때문에 측정값이 흔들릴 수 도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AgCI 기준전극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Orion에서는 ROSS 기준전극을 개발했다.

ROSS 전극에서는 1/2 + 1의 특이한 결합으로 온도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는다.

pH 전극은 전극 내부에 버퍼용액을 사용하여 전극내부의 H 활동도를 고정시키기 되는데, 온도에 대한 ROSS 기준전극과 버퍼의 반응이 상쇄되어 일정한 기준전위를 제공할 수 있게된다.

이에따라 ROSS pH 전극을 사용하면 온도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다.

기존의 전극들은 금속이온이 충진용액을 통과해서 시료로 빠져 나올 수 있었지만 ROSS 전극은 시료와 반응할 수 있는 은이나 수은이 들어있지 않고, 이러한 금속에 의해 junction이 막히지 않아 생물학적 배지, 식품, 의약품과 같이 금속이온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안되는 시료에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ROSS pH 전극은 온도가 자주 변화하는 시료에서도 신속하게 일반 전극보다 뛰어난 안전성과 정확성, 재현성 있는 측정결과를 제공한다.

일반 Ag/AgCI 전극은 온도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불안정한 반면 ROSS 전극을 사용하면 온도가 많이 변하는 시료에서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pH를 측정하면서 느린 감응속도, 측정할 때마다 바뀌는 pH값, 온도변화가 심한 시료, 전극 내부에서 빠져나오는 Ag 금속으로 인한 시료의 오염 등의 문제들로 고민했던 연구원들에게 꼭 필요한 제품이다.

ROSS pH 전극은 전극에 염 결정 또는 침전물이 생기면 곧바로 증류수나 다른 적당한 용액으로 세척해야 한다.

또한, 주기적으로 전극에 채워진 충진용액을 완전해 빼내고 새 충진용액을 채워줘야 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다.

www.youngwha.com, 02-2140-5400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