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000270)가 국내 완성차 업체 가운데 처음으로 일반 도로에서 원격 운전 실증에 성공했다. 민간 기업·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기술을 고도화하고 사업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기아는 27일 제주도에서 ‘원격 운전 실증 성과 공유회’를 열고 기술 개발 현황을 공개했다. 이날 행사에는 국토교통부·제주특별자치도·쏘카(403550)·KT(030200)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원격 운전은 외부 관제센터에서 4G·5G 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해 무인 차량을 운행·제어하는 기술로 자율주행 기술의 대안으로 꼽힌다. 특히 카셰어링·물류 등 새로운 서비스 모델과의 연계 가능성이 커 업계의 관심이 높다.
기아는 올 4월 국토부 규제 샌드박스 특례를 취득한 뒤 쏘카·에스유엠·KT와 ‘원격 운전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기아가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쏘카는 카셰어링 플랫폼 제공을, 에스유엠은 원격 운전 솔루션 개발과 실증차 운영을 각각 맡았다. KT는 원격 운전에 필요한 네트워크 구축 및 관리를 담당했다.
컨소시엄은 기아의 전동화 목적기반차량(PBV)인 ‘PV5’를 기반으로 원격 운전 전용 시스템을 개발하고 통신 장애 등 돌발 상황에도 대응하도록 통신망을 이중화했다. 원격 운전 인력 교육과 긴급 출동 체계 도입 등 안전장치도 함께 마련했다.
컨소시엄은 이를 바탕으로 최근 한 달 동안 제주공항에서 제주 쏘카터미널 또는 용두암을 오가는 공도 구간에서 약 70시간, 1000㎞의 주행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컨소시엄은 제주 실증을 통해 확보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술 완성도를 높이고 2027년까지 여러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원격 운전 실증을 확대할 계획이다.
기아 관계자는 “원격 운전은 교통 소외 지역의 이동 편의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카셰어링과 물류 산업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u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