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000660)가 삼성전자(005930)를 제치고 올해 3분기까지 3개 분기 연속으로 전세계 D램 시장 1위를 차지했다. 다만 2위 삼성전자와의 격차가 전 분기보다 좁혀졌고 3위 마이크론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26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3분기 전 세계 D램 시장 매출은 414억 달러로 전 분기 대비 30.9% 성장했다. 트렌드포스는 이에 대해 D램 가격이 대폭 상승하고 출하량이 증가한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3분기 SK하이닉스의 매출은 137억 5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12.4% 증가했다. 다만 시장 점유율은 전 분기 38.7%에서 33.2%로 하락했다. 삼성전자는 전 분기보다 30.4% 증가한 135억 달러 매출을 올렸다. 점유율은 32.6%로 전 분기(32.7%) 대비 소폭 하락했다.
3위 마이크론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마이크론은 전 분기보다 53.2% 증가한 106억 5000만 달러 매출을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도 25.7%로 전 분기(22%) 대비 3.7%포인트 올랐다.
4분기에도 D램 가격 상승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트렌드포스는 4분기 범용 D램 가격은 전 분기 대비 45~50% 상승하고,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포함한 전체 D램 가격은 50~55%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D램 공급업체 재고도 거의 소진된 상태라고 전했다.
트렌드포스는 "클라우드서비스업체(CSP)들이 계속해서 적극적으로 물량을 확보하고 있고 다른 수요처도 공급 확보를 위해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첨단 및 범용 제품, 모든 응용처 전반에서 계약가가 빠르게 상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ji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