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상장사 내부감사기구를 대상으로 간담회를 열고 ‘회계부정의 1차 방어선 기능’을 강조했다.
금감원은 26일 서울 마포구 상장회사회관에서 상장회사 9곳의 감사위원·감사 등과 간담회를 열고 자본시장 투명성과 신뢰성 제고를 위한 내부감사기구의 역할을 논의했다. 금감원의 상장사 내부감사기구 대상 간담회는 이번이 처음이다. 최근 신외감법 도입과 내부회계관리제도 고도화로 내부감사기구의 책임과 권한이 커지면서 감독당국과의 직접 소통 필요성이 높아졌다는 배경에서다.
윤정숙 금감원 회계전문심의위원은 신외감법 도입으로 외부감사인 선정 권한이 경영진에서 내부감사기구로 이관된 점을 언급하며 비용 절감 대신 감사품질 중심의 외부감사인 선정을 해달라고 주문했다. 외부감사인과의 유기적인 협력 체계 중요성도 강조했다.
윤 위원은 “복잡하고 교묘한 회계분식을 방지하기 위해 감사계획-실시-종료 등 전 과정에서 내·외부감사인 간의 긴밀한 협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경영진 배제’ 회의를 분기당 최소 1회 개최하되, 대면 회의를 통해 양방향으로 정보를 교류하는 등 실질적인 소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회계부정 발견 시 자체 감사나 외부전문가 활용 조사를 통해 빠르게 시정하고 필요시 조사·조치 결과를 금융당국 및 감사인에게 제출해달라고도 요청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변화되는 규제환경 하에서 내부감사기구의 역할과 책임이 확대되고 있는 바 회사의 내부통제와 지배 구조 체계를 보다 실효성 있게 운영하도록 지속 노력해 기업문화와 실무 관행을 함께 점검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그러면서 내부감사기구의 회사·감사인에 대한 소통 및 정보 접근성 강화, 내부감사 전문성 교육 확대 등 개선 의견을 제시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상장사는 대성홀딩스, 아모레퍼시픽, 서부T&D, 유한양행, GS, 심텍, KISCO홀딩스, 에스에프에이, 세나테크놀로지 등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outh@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