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가 동맹을 위해 포괄적 주식 교환을 하는 과정에서 알려진 것보다 교환 비율을 높이고 나스닥 상장을 추진하기로 했다. 두나무의 기업가치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네이버와 두나무 간 통합을 순조롭게 마무리하기 위해서다.
2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는 26일 각각 이사회를 열어 포괄적 주식 교환 여부와 비율을 논의한 후 의결할 예정이다. 주식 교환 비율은 네이버파이낸셜 대 두나무가 약 1대3.3~3.4로 예상보다 높아진다. 업계 핵심 관계자는 “두나무의 현재 실적과 미래 성장성을 토대로 한 비상장 기업가치를 최소한 1대3보다 높이되 1대4보다는 낮춰 양 기업의 모든 대주주들이 합의할 수 있도록 이사회 안건에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는 이 같은 비율에 따른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해 두나무가 네이버파이낸셜의 100% 자회사가 되는 통합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 주주는 주식 교환 후 네이버파이낸셜의 주주가 되는데 교환 비율에 따라 지분율과 의결권이 달라지게 된다. 두나무의 송치형 회장과 김형년 부회장이 1대 주주이고 네이버가 2대 주주가 되지만 송 회장 측이 일부 의결권을 위임할 계획이다.
송 회장과 이해진 네이버 의장은 27일 네이버 제2 사옥인 ‘네이버 1784’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이 같은 합병 후 사업 구상안을 밝힐 예정이다.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는 지분 교환 후 미국 나스닥 상장도 일정 기간 내 완료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파이낸셜의 모회사인 네이버가 국내 상장사인 만큼 중복 상장에 대한 우려를 씻고 제대로 된 기업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서다. 단 상장은 이번 이사회 안건에 담지 않고 구체적인 절차가 확정되면 논의하기로 했다. 일각에서는 포괄적 주식 교환 후 네이버와 네이버파이낸셜의 합병을 통해 송 회장이 실질적인 최대주주에 오르는 방안이 거론되지만 현시점에서 양 사 모두 주식 교환 후 추가 합병은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에 각각 투자한 미래에셋금융그룹과 카카오인베스트먼트 등 주요 재무적투자자들은 26일 이사회 후 이르면 주주총회 시점에 이들과 동참하거나 지분을 매각할지를 결정할 방침이다. 다만 양 사의 기업결합 심사가 마무리된 뒤 열릴 주총에서 안건에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최종 결론은 내년 3월 정기주총보다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why@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