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코텍(039200)은 다음달 5일 임시주주총회 안건에 대해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 인스티튜셔널셰어홀더서비스(ISS)와 글래스루이스가 모두 찬성을 권고했다고 24일 밝혔다.
ISS와 글래스루이스는 전 세계 기관투자자들이 의결권 행사 결정 시 널리 참고하는 대표적 글로벌 자문기관이다. 기업의 정관 변경, 이사 선임, 보상 정책 등 주요 안건을 독립적으로 분석해 주주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두 기관은 올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일부 안건 부결 등을 인지하고도 이번 임시주총 안건의 필요성과 이사회 독립성 강화 노력을 긍정 평가했다. 오스코텍 소액주주들의 모임인 ‘오스코텍 주주연대’의 반대 주장과 상반된 결과다. 앞서 주주연대는 △수권주식수 확대가 특정인의 자금 회수(엑시트) 목적 △소액주주 보호 정관안 무시 △이사 선임이 특정 체제 강화를 위한 조치 △자회사 100% 편입은 주주 익에 반하는 조치 등의 주장을 제기했다.
ISS는 정관 변경안과 관련해 “제안된 변경 사항은 문제 소지가 없고 주주권익에 부정적 영향이 없다”며 보통주 발행 한도를 4000만 주에서 5000만 주로 확대한 것은 사업 기회를 위한 적정 수준의 유연성 확보로 평가했다. 김규식 사외이사 후보와 신동준 사내이사 후보 역시 이사회 구성 측면에서 특별한 문제가 없다고 봤다.
글래스루이스 또한 정관 변경안과 이사 선임안에 찬성 의견을 냈다. △오스코텍이 정관 변경 목적으로 ‘자회사 지분 확보를 위한 자금 조달’로 명확히 밝힌 점 △자금 조달 시 가격 산정, 투자자 선정 사유, 희석 영향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는 점 등을 근거로 삼았다. 이사회가 법정 요건 이상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도 찬성 권고의 주요 이유로 제시했다.
이상현 오스코텍 대표는 “글로벌 자문사의 찬성 권고는 당사 안건 필요성과 투명 경영 노력을 객관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임시주총을 계기로 개선된 거버넌스와 향후 비전을 설명드리고, 지속적인 소통으로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오스코텍은 이달 26일 서울 여의도에서 ‘2025년 주주 소통 간담회’를 개최한다. 임시주총 안건의 배경 및 취지, 이사 후보자들의 자격 등에 설명하는 자리다. 오스코텍 관계자는 “수권주식수 확대는 제노스코 지분 확보로 사업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조치일 뿐 특정인의 지분 매입과 무관하다”며 “견조한 재무 성과와 함께 적극적인 주주 소통으로 기업 가치를 제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park@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