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E&A와 대한항공이 미국 지속가능항공유(SAF) 시장 진출을 위해 협력한다.
삼성E&A와 대한항공은 20일 ‘SAF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해외 SAF 생산 프로젝트 발굴 및 검토 △SAF 장기 구매 참여 검토 및 상호 지원 △SAF 관련 신기술·프로젝트 투자 검토 △대한항공의 삼성E&A SAF 기술 동맹 파트너 참여 등의 내용을 담았다.
이를 통해 양 사는 각자 보유한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안정적인 SAF 생산과 공급망을 구축하는 한편 관련 사업 기회를 발굴하는 데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우선 양 사는 미국 시장에 주목하며 현지 프로젝트 참여 방안을 본격 검토할 예정이다.
삼성E&A는 현재 EPC(설계·조달·시공) 분야 전문성을 바탕으로 미국 현지에서 추진되는 2세대 SAF 생산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 참여를 검토 중이다. 삼성E&A는 목질계 폐기물을 고온에서 가스화한 후 다시 액체연료로 전환하는 ‘가스화-피셔-트롭시’ 기반 2세대 SAF 생산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이 기술은 폐식용유 등 제한된 원료만 사용이 가능했던 1세대 SAF의 한계를 넘어 폐목재와 같은 비식용, 폐기성 바이오매스까지 원료 범위를 확장할 수 있고 탄소감축 효과도 큰 차세대 기술이다.
대한항공은 이곳에서 생산되는 SAF를 장기 구매하는 오프테이커로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오프테이커는 일정 기간 생산량을 고정적으로 사들여 신규 에너지 사업 기반을 안정화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삼성E&A 관계자는 “SAF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부터 글로벌 오프테이커인 대한항공과 함께 협력해 프로젝트 실행 가능성을 높이고 발주처 신뢰를 얻어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것”이라며 “앞으로 에너지 전환 분야 신사업 참여를 확대해 중장기 지속성장의 동력으로 키워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oor@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