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가격 상승에 생산자물가가 두 달 연속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10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82(2020년 수준 100)로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5% 뛰며 상승 폭이 확대됐다.
생산자물가는 6월(0.1%)과 7월(0.4%) 두 달 연속 오른 뒤 8월(-0.1%) 소폭 하락했으나 9월과 10월 다시 두 달 연속 상승 흐름을 보였다. 생산자물가는 시장에 공급되는 도매물가로 통상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품목별로는 공산품이 0.5% 오르며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3.9%), 1차 금속제품(1.3%) 등이 강세를 나타냈다. 서비스 물가도 0.5% 상하며 오름세를 이어갔다. 금융·보험서비스(2.9%), 음식점·숙박서비스(0.5%) 가격이 상승을 주도했다.
반면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 부문은 0.6% 하락했다. 산업용 도시가스(-5.4%)와 폐기물 수집·운반(-1.6%) 가격이 내려 전체 지수를 끌어내렸다.
농림수산품은 전월 대비 4.2% 하락해 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농산물(-5.5%)과 축산물(-5.4%)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진 영향이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D램(28.1%), 플래시메모리(41.2%), 물오징어(18.5%), 금괴(13.3%), 호텔(10.7%) 등의 상승 폭이 컸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D램이나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반도체 수요 강세가 이어지면서 반도체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고 설명했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9월보다 0.9% 상승했다.
원재료(1.5%)와 중간재(1.0%), 최종재(0.3%) 모두 오르면서 지난해 4월(1.0%) 이후 1년 6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10월 총산출물가지수는 1.1% 올랐다. 역시 지난해 4월(1.2%) 이후 최대 폭 상승이다.
이 팀장은 "반도체 가격 오름세에 더해, 공급물가지수와 총산출물가지수 산출에 포함되는 수출 물가와 수입 물가가 모두 환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오른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생산자물가 흐름과 관련해서는 “이달 들어 원·달러 환율이 2% 상승했지만 산업용 도시가스 요금 인하, 10월 상승 요인이었던 여행 관련 서비스 수요 둔화 가능성 등이 함께 작용하면서 상·하방 요인이 혼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hr@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