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오젠(196170)이 유럽에서 피하주사(SC) 제형 ‘키트루다’의 품목허가를 받은 데 이어 연내 추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다음달에는 코스피 이전 상장을 위한 주주총회도 앞두고 있어 알테오젠에 겹호재가 이어지는 모양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알테오젠은 SC 제형 변경 플랫폼 ‘ALT-B4’를 기반으로 연내 추가 기술이전 계약 성사를 기대하고 있다. 알테오젠은 올 초 6건 이상의 물질이전계약(MTA)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MTA는 상대 제약사가 후보물질을 전달받아 유효성과 개발 가능성을 검증하는 절차로 기술이전 논의의 본격화를 의미한다. 이지수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ALT-B4는 항체 치료제뿐 아니라 항체약물접합체(ADC), 이중항체, 리보핵산(RNA) 치료제 등 다양한 치료법(모달리티)에 적용 가능해 추가 기술이전 가능성이 유효하다”고 분석했다.
알테오젠의 파트너사인 미국머크(MSD)가 19일 유럽에서 ‘키트루다SC’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발표한 가운데 조만간 또 다른 성과가 예정돼 있는 셈이다. 키트루다SC는 올 9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에 이어 세계 주요 시장인 유럽에서 허가를 받으며 본격적인 상업화 단계에 진입했다. 알테오젠은 FDA 허가 당시 2500만 달러(약 350억 원)의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을 받았고, 이번 유럽 허가로 약 265억 원의 마일스톤을 수령할 것으로 추정된다. 김선아 하나증권 연구원은 “키트루다 SC 판매로 2028년이면 마일스톤 수익만 1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알테오젠은 (키트루다SC 상업화로) 현금 유입이 안정화되면 ALT-B4 생산 공장을 구축해 생산 관련 매출도 확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알테오젠이 키트루다SC로 수령할 로열티가 1조 원에 육박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MSD는 키트루다SC 출시 후 2년 내 기존 키트루다의 30~40%가 피하주사 제형으로 전환될 것이라 보고 있다. 이미 존슨앤드존슨(J&J)의 혈액암 치료제 ‘다잘렉스’가 SC 제형 출시 후 2년 만에 전환율 84%, 로슈의 면역항암제 ‘티센트릭’이 출시 9개월 만에 전환율 32%를 기록한 바 있다.
알테오젠의 내년 코스피 이전이 유력하다는 점도 기업 가치를 높이는 요인이다. 알테오젠은 코스피 이전 상장 승인을 위해 다음달 5일 임시주주총회를 연다.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는 “키트루다 SC 허가로 안정적인 매출 및 수익 기반을 확보하게 됐다”며 “코스피 이전 상장으로 기업 신뢰를 더욱 높이고 주주가치를 제고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park@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