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들어 KB국민은행의 부동산업 대출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6·27 대출 규제와 정부의 생산적 금융 강화 기조가 맞물린 결과로 보인다.
20일 금융계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의 9월 말 현재 부동산 관련 대출 비중은 26.2%(약 60조 4220억 원)로 6월 말과 비교해 0.3%포인트 감소했다. 건설업 대출 비중이 3개월 새 0.1%포인트 늘어난 2.1%(약 4조 8820억 원)를 기록했지만 건설과 부동산을 더해도 0.2%포인트 쪼그라들었다.
특히 KB국민은행은 단기간 내 제조업 대출 비중을 높였다. 올 6월 말 기준 26.3%였던 제조업 대출 비중은 9월 말 현재 26.9%로 0.6%포인트 급증했다. 같은 기간 대출 잔액도 59조 7430억 원에서 61조 9520억 원으로 불어났다. 도소매(13.8%)와 숙박 및 음식 서비스(4.3%) 등은 비중에 변화가 없었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6·27 부동산 대출 규제에 영향을 받지 않았겠느냐”며 “정부 차원에서 생산적 금융을 강조하고 있는 점도 일부 반영됐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업계에서는 향후 부동산 대출 흐름을 봐야 하지만 KB국민은행의 움직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KB국민은행이 리딩뱅크인데다 전통적으로 부동산 금융에 특화돼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아직 기간이 짧기는 하지만 KB국민은행의 부동산 관련 대출 비중이 줄고 있다는 것은 긍정적 신호”라며 “단기간의 결과가 아닌 지속적으로 비중을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KB국민은행의 부동산 관련 대출 비중은 가파른 증가세를 보여왔다. 2022년 9월 말만 해도 23.7%였던 건설·부동산 대출 비중은 2023년 26.6%를 거쳐 지난해 28%로 급격히 증가했다. 생산적 금융을 위해서는 은행의 체질과 관행을 통째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이 때문에 KB금융도 근본적인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2030년까지 생산적 금융에 93조 원을 투입해 국가균형발전과 인프라, 신재생에너지, 데이터·인공지능(AI) 센터, 물류와 항만 등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현재 KB금융은 한국산업은행과 3조 3000억 원 규모의 용인반도체클러스터 금융 주선을 통해 국가 기간산업 지원에 앞장서고 있다. 그룹 내부에서는 이번 기회에 조직 DNA를 바꿔 기업과 투자금융 역량을 대폭 확충해야 한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KB금융의 관계자는 “앞으로 생산적 금융이 본궤도에 오르기 시작하면 부동산 대출 비중이 줄어들고 제조업과 국가첨단산업 지원 규모가 더 커지게 될 것”이라며 “기업여신 정책과 영업 방식을 산업 육성 관점에서 접근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계열사의 부동산 금융 영업 조직을 축소하고 기업·인프라 부문을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seop@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