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가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 BOE와 3년간 이어온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특허 분쟁에서 완승했다. 예비 판결에서 패색이 짙어진 BOE가 삼성디스플레이와 모든 소송을 종료하고 로열티(특허 이용료)를 지급하기로 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BOE와 미국·중국 등에서 벌여온 여러 건의 특허침해 분쟁, 영업비밀 침해 분쟁 등에 대해 최근 합의하고 소(訴)를 취하했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당초 17일(현지 시간) 삼성디스플레이와 BOE 간 영업비밀 침해 분쟁에 대해 최종 결론을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대신 다음 날인 18일 공고를 통해 양사 간 진행 중인 소송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앞서 삼성디스플레이는 2022년 12월 ITC에 BOE를 비롯한 미국 부품 도매 업체를 상대로 특허침해 소송을 제기했으며 다음 해 10월에는 BOE를 영업비밀 침해로 제소했다.
ITC는 올 7월 예비 판결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손을 들어주며 BOE가 향후 14년 8개월 동안 미국에 패널을 수출할 수 없다는 내용의 제한적 수입 금지 명령(LEO)을 내렸다. 이와 별개로 양 사는 특허 협상을 별도로 해왔는데 구체적 합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BOE가 삼성에 로열티를 지급하고 미국·중국에서 진행 중인 소송도 서로 취하하기로 하는 데 합의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청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은 이날 직원 소통 행사인 ‘디톡스’를 열어 5대 중점 사업을 발표하고 중국 등 경쟁사를 따돌릴 확고한 기술 장벽을 구축하자고 역설했다.
이 사장이 제시한 5대 미래 사업은 △폴더블 △노트북·태블릿 △전장 △모니터 △확장현실(XR)용 마이크로 OLED(올레도스)다. 그는 초격차 확립을 위해 연구개발(R&D) 확대와 제조 효율화를 강조했다. 2026년 첫 양산을 앞둔 아산 사업장의 수익성을 경쟁사가 추격할 수 없는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한편 차세대 혁신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R&D 투자도 확대한다는 것이 이 사장의 계획이다.
이 사장은 “경쟁사의 기술 추격이 거센데 제품의 완성도나 제조 경쟁력이 고객사 기대에 충분히 부응하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며 “기술·고객·실행이라는 세 가지 본질과 일하는 문화를 마음에 새기자”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ji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