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현 기후에너지환경부 2차관이 “2040년 석탄발전소 폐지라는 국정과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합의를 통해 지혜로운 방향을 모색해 가겠다”고 말했다. 정부의 탈(脫)석탄 계획을 이행하되 지역 경제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산업 경쟁력도 키울 수 있도록 최선의 대안을 찾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 차관은 19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서울경제신문 주최로 열린 제22회 에너지전략포럼에서 “최근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석탄발전소에 다시 주목하고 있다”며 “석탄발전을 다시 하겠다는 것이 아니고 기존의 구축된 전력망을 활용하려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선진국은 전력망 구축 비용이 높다 보니 옛 발전소의 전력망 인프라가 가치 높은 투자 대상이 된다는 이야기다.
이 차관은 “우리도 폐쇄될 석탄발전소의 전력 인프라를 에너지저장장치(ESS)나 재생에너지와 연계하는 방식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석탄발전소 부지에 새로운 발전소를 짓거나 재생에너지와 연계된 수소 생산 기지를 만드는 등의 방안을 강구하면 인프라 비용을 줄이면서 발전소가 밀집한 지역 경제도 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앞서 17일(현지 시간) 2040년까지 탈석탄을 목표로 내세운 전 세계 ‘탈석탄동맹(PPCA)’에 가입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oojh@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