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86.2%가 정년퇴직자에 대한 고용연장 방식으로 ‘선별 재고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9일 정년제가 있는 30인 이상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고용연장 관련 중소기업 의견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바람직한 정년퇴직자 고용연장 방식으로 법정 정년연장이라고 답한 곳은 13.8%에 그쳤다. 선별 재고용은 직무·성과·건강상태 등에 따라 고용연장 대상자를 결정하고 재고용 시 새로운 근로계약을 통해 고용기간과 임금 조정이 가능한 방식이다.
법정 정년이 연장될 경우 기업들이 가장 부담을 느끼는 요인은 인건비 증가로 전체 응답의 41.4%를 기록했다. 이어 산업안전·건강 이슈(26.6%), 청년 등 신규채용 기회 감소(15.8%), 생산성·업무효율 하락(12.2%)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안전·건강 이슈는 제조업과 일반서비스업에서, 청년 등 신규채용 기회 감소는 지식기반서비스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응답기업의 67.8%는 이미 정년퇴직자를 촉탁직으로 다시 고용하는 등 고용 기간 연장 제도를 시행 중이라고 답했다. 재고용 제도를 시행하지 않는 기업은 18.4%, 정년퇴직자가 없어 해당사항이 없는 기업은 13.8%이다. 재고용 제도를 시행하는 중소기업의 경우 79.1%가 직무·성과·건강상태 등을 고려해 고용연장 여부를 결정하고 있고 희망자 전원을 고용연장하는 곳은 20.9%다. 고용연장된 근로자의 임금에 대해서는 75.7%가 정년 시점과 비슷한 수준으로 지급했고 23.3%가 감액, 1.0%가 증액해 지급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용연장이 필요한 직무에 대해서 제조업은 생산기능직(92.7%)에 응답이 집중되고 일반사무직(6.0%) 등 다른 직무에 대한 고용연장 필요 응답은 매우 적었다. 지식기반서비스업은 연구개발직 47.6%, 일반사무직 32.4%, 일반서비스업은 일반사무직 45.8%, 연구개발직 25.0%로 조사됐다.
이명로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정년제가 있는 중소기업 대부분이 선별 재고용 방식을 현실적인 고령인력 고용연장 방식으로 생각하는 것이 확인됐다”며 “중소기업 인력난을 완화하고 청년 고용 감소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선별 재고용 방식 등 임금과 고용 유연성을 높이는 고령인력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osey27@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