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18일 그룹 최대 기술 행사인 ‘포스코그룹 테크포럼’에서 대내외적 불확실성을 타개하기 위한 기술 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장 회장은 이날 포항공대에서 열린 포스코그룹 테크포럼 개회식에서 “불확실한 경영환경을 돌파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이 기술 혁신” 이라며 “현장과 연구소가 모두 참여하는 ‘원팀’형 초격차 대형 과제를 추진해 기술 개발의 속도를 높이고 혁신 기술로 그룹의 미래 경쟁력을 완성해 나가자”고 밝혔다.
포스코그룹 테크포럼은 그룹 핵심 사업의 기술개발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올 해 37회째를 맞았다. 장 회장은 “철강과 2차전지 소재 사업에서 자원 확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해외 자원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조사와 혁신 기술 확보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이어 “전 직원의 AI 활용 역량을 강화해 모든 현장에서 AI 중심의 디지털 혁신을 이뤄내자”고 덧붙였다.
테크포럼에서는 기술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직원들을 격려하는 ‘포스코 기술대상’ 시상식도 함께 열렸다. 기술 대상 최고상인 ‘올 해의 혁신상’은 포항제철소 제강부와 포스코퓨처엠 양극재 연구센터가 수상했다. 포항제철소 제강부의 ‘제강 전(全)공정 자율 조업 기술’은 기존에 작업자들이 제강 공정에서 수작업으로 하던 업무를 AI를 활용해 100% 자동화한 것으로, 작업자별 편차를 없애고 작업 소요시간을 기존 대비 약 10% 단축했다.
포스코퓨처엠 양극재 연구센터의 ‘전구체 연속식 순환 농축 공정 양산화 기술’은 신공정 개발·도입으로 가공비는 줄이고 공정 생산성은 업계 최대 수준으로 끌어 올렸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아울러 포스코그룹은 이틀 동안 25개 기술 세션을 운영한다. 기술 세션에선 사내외 전문가들이 모여 우수 기술 개발 성과를 공유하는 데 올 해는 로봇과 핵심광물 기술 개발에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그룹은 장 회장 취임 이후 혁신기술 개발로 미래 도약을 위한 초석을 다지는데 그룹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unset@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