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373220)이 국내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에 나선다.
LG에너지솔루션과 충북도는 17일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 행사를 열었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연말부터 오창 에너지플랜트에 LFP 배터리 생산라인 구축을 시작해 2027년부터 본격 가동에 돌입한다. 초기 생산은 1GWh 규모로 개시할 예정이며 향후 시장 수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생산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이복원 충북도 경제부지사는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국내 최초로 ESS용 LFP 배터리를 생산하게 된 것은 ESS 산업 발전을 선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배터리 산업의 국제 경쟁력이 한층 강화되고 충북이 세계적인 2차전지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 기반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김형식 LG에너지솔루션 ESS전지사업부장은 “오창 에너지플랜트는 LG에너지솔루션의 모든 제품 개발과 제조의 허브 역할을 하는 ‘마더 팩토리’”라며 “ESS용 LFP 배터리를 생산하는 것은 국내 ESS 산업 생태계의 더 큰 도전과 도약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기업들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ESS용 LFP 배터리 양산 체계를 갖추고 있다. 2024년 중국 난징 공장에서 ESS용 LFP 배터리 생산을 시작했고 올 6월부터는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도 제품 생산에 들어갔다. 이미 글로벌 업체들과 대규모 ESS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해 3분기 말 기준 약 120GWh에 육박하는 수주 잔액을 확보한 상태다. 신규 및 기존 고객들과 추가 계약 논의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국내 ESS 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해 해외 공장의 양산 시스템과 노하우를 오창 에너지플랜트에 그대로 이식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고 있는 LFP 소재 등을 충북도 및 국내 소부장 중소 업체들과 협력을 통해 국내 생산으로 돌린다는 목표다.
글로벌 ESS 시장에서 LFP 배터리는 원가 경쟁력이 높고 발화 가능성 및 화재 위험이 낮아 최적화된 배터리로 평가된다. 시장조사 기관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ESS 시장의 약 90% 이상이 LFP 배터리를 기반으로 구축돼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이 북미 및 유럽에서 수주한 다수의 대형 ESS 프로젝트 역시 모두 LFP 기반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LFP 제품은 미국 안전 인증 기관 UL의 화재안전성(UL9540A) 기준을 충족하는 것은 물론 대형 화재 모의 시험을 통해 셀의 안전성을 입증했다. 전기 저장 시설 화재 안전 기준(NFPC607) 시험 결과 열 폭주 상황에서도 화염 없이 연기만 관찰됐고 인접 모듈로의 전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또 유해가스 발생, 폭압 위험도 최소 수준으로 억제되는 등 구조적 안전성이 입증됐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자체 개발한 배터리관리시스템(BMS) 기술과 모듈·팩 설계 기술이 결합된 결과”라며 “안정적인 생산 역량과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ESS 사업을 전략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yoogiza@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