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첫 삽을 뜬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의 여파 등으로 사업 시행을 맡은 민간 프로젝트금융회사(PFV)가 부도를 맞아 2013년 10월 도시개발구역 지정 해제가 이뤄진 지 12년 만이다. 서울시는 이 일대 1만 3000가구의 주택 공급을 진행할 방침이지만 정치권의 추가 공급 주문으로 인해 사업 계획이 일부 변경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서울시는 이달 27일 용산구 한강로3가 40-1 일대에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 기공식을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도로와 공원 등 부지 조성 공사를 2028년까지 완료하고 이후 개별 필지 개발·착공을 통해 이르면 2030년부터 기업과 주민 입주가 시작하도록 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를 글로벌 기업의 아시아·태평양 본부 등이 모인 업무 중심지로 개발해 서울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는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최고 100층 수준의 초고층 빌딩들이 들어서는 국제업무존, 오피스·오피스텔·상업 시설 등이 조성되는 업무복합존, 주거·의료·교육 시설 등이 자리 잡는 업무지원존으로 구성한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조성 사업은 국토교통부 산하 공기업 한국철도공사(코레일)과 서울시의 공기업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가 공동 사업 시행자를 맡고 있다. 국토부, 서울시, 코레일, SH는 지난해 11월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해 협력한다는 협약을 맺었다. 당시 서울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에서 주거 시설 6000가구, 주변 정비사업 지원 등을 통해 늘어나는 7000가구를 포함해 총 1만 3000가구의 주택 공급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최근 여권 일각에서 서울 집값 안정을 위해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주택 공급 규모를 더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1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아파트 2만 가구를 추가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해 달라고 제안했다. 이에 구 부총리는 “관계 부처와 점검해서 주택으로 공급이 가능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서울시는 국제업무 기능을 유지하면서 신속한 사업 추진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주택 공급 물량 확대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우선 지난해 11월 발표한 1만 3000가구에 더해 확대 가능한 물량을 면밀하게 살펴본다는 계획이다. 올해 말 시작될 기반시설 착공 등 개발사업 추진 일정을 고려해 기존 개발계획의 도로·공원 등 기반시설로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국토부, 교육청 등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주택 공급 확대 물량을 결정할 예정이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개발계획을 전면 재수립하면 사전 행정절차 이행 등으로 최소 2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며 “기반시설 계획까지 전면 수정해 주택 공급 물량을 늘리는 것보다는 신속한 주택 공급을 추진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ocool@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