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가 호주 리튬 광산에 1조 1000억 원을 투자한다. 아르헨티나에서도 950억 원을 들여 염호 내 광권을 인수한다. 포스코홀딩스는 글로벌 공급망이 불안정한 시기지만 공격적인 투자로 안정적인 원료 공급 체계를 구축하고 철강과 2차전지 소재를 축으로 하는 ‘투코어’ 전략을 가속화하는 모습이다.
포스코홀딩스는 호주의 대표 광산 기업인 미네랄리소스가 설립하는 중간지주사 ‘리튬코(가칭)’의 지분 30%를 1조 1121억 원에 취득할 예정이라고 12일 밝혔다. 포스코홀딩스는 이번 투자를 통해 미네랄리소스가 서호주에서 운영 중인 글로벌 톱티어 리튬 광산인 ‘워지나 광산’과 ‘마운트마리온 광산’으로부터 연간 27만 톤의 리튬 정광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수산화리튬 3만 7000톤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이며 전기차 86만 대에 들어가는 분량이다.
포스코홀딩스는 호주 리튬 광산에 대한 전략적 지분 투자로 광산 경영 참여와 배당 수익 확보가 가능한 구조를 만들었다. 2차전지 시장이 다시 성장 궤도에 진입할 경우 리튬 정광 제련 사업까지 연계하는 단계적 사업 확장도 계획하고 있다.
아울러 포스코홀딩스는 5일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 내 광권을 보유한 캐나다 자원 개발 회사 LIS(Lithium South)의 아르헨티나 법인 지분 100%를 950억 원에 인수하기로 하며 우량 염수 리튬 확보에도 나섰다. 포스코홀딩스는 2018년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의 광권 일부를 인수했는데 인접한 광권을 추가로 확보하며 고품위 리튬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기틀을 다졌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글로벌 1위 리튬 기업을 위해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글로벌 리튬 공급망을 다변화해나가겠다”고 말한 바 있다.
포스코그룹이 최근 리튬 공급망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는 것은 2차전지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으로 바닥을 기었던 글로벌 리튬 가격이 반등할 것이라는 확신에서 비롯됐다. 포스코홀딩스는 최근 진행된 3분기 실적 설명회에서 현재 1㎏당 8~9달러 수준인 리튬 가격이 내년에는 최대 15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이번 투자를 통해 포스코그룹이 추진하고 있는 ‘2코어(철강·2차전지 소재)+뉴엔진’으로 대표되는 중장기 사업 전략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포스코그룹은 2023년 2차전지 소재 부문에서 2030년까지 매출 62조 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는데 이를 위해 2차전지 밸류체인 확장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이다. 포스코홀딩스는 2030년까지 △리튬 42만 3000톤 △고순도 니켈 24만 톤 △리튬·니켈·코발트(리사이클 포함) 7만 톤 △양극재 100만 톤 △음극재 37만 톤 △차세대 소재 9400톤 등의 생산 체제를 구축해나가기로 했으며 아르헨티나 살타 지역에 19억 2000만 달러(약 2조 8000억 원)를 투자해 수산화리튬 생산 공장을 짓고 있다. 또 2023년에는 전남 광양에 포스코HY클린메탈의 상업 생산을 시작하며 폐배터리에서 리튬·니켈·코발트를 추출할 수 있는 시설을 갖췄다.
아울러 포스코퓨처엠(003670)은 올해 양극재의 원료인 전구체 생산 시설을 전남 광양에서 준공했으며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해 짓고 있는 캐나다 양극재 공장 얼티엄캠 역시 내년 10월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핵심 사업에 대한 미래 성장 투자를 통해 반세기를 넘게 이어온 제철보국을 넘어 2차전지 소재의 국산화로 국가 경제 및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소재보국을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oor@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