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생명이 ‘광화문글판’ 35주년을 기념한 북콘서트를 열고 시민들이 직접 뽑은 ‘베스트 광화문글판’을 공개했다.
교보생명은 11일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에서 ‘시민들과 함께하는 광화문글판 35주년 기념행사’를 진행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시민 2만 2500명이 참여한 온라인 투표를 통해 장석주 시인의 ‘대추 한 알’이 가장 많은 공감을 얻은 베스트 광화문글판에 뽑혔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견디며 익어가는 인내와 회복의 메시지’가 시민의 일상에 다정한 위로가 됐다는 평가다. 도종환 시인의 ‘흔들리며 피는 꽃’과 나태주 시인의 ‘풀꽃’ 등도 많은 호응을 얻었다.
시민과 문학인 등 300여 명이 참석한 이날 행사에서는 가상현실(VR) 퍼포먼스와 시 낭송, 북 토크, 기념 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행사에 참가한 패널들은 광화문글판을 “바쁜 도시 일상 속에서도 잠시 멈춰 서게 하는 언어의 예술이자 흐트러진 마음을 붙잡아주는 닻과 같은 존재”라고 평가했다.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은 “35년간 광화문글판은 시대의 아픔을 위로하고 희망을 전하는 시민들의 벗으로 자리해왔다”며 “앞으로도 광화문글판이 시민의 일상 속에서 짧은 휴식과 미래의 희망을 건네는 문화의 창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1991년 신용호 교보생명 창립자의 제안으로 시작된 광화문글판은 초기만 해도 계몽적 표어의 성격이 강했다. 하지만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시민들에게 위안을 주는 문구를 싣자’는 신 창립자의 제안에 따라 지금의 감성적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2000년에는 문인과 언론인·평론가 등으로 구성된 ‘문안선정위원회’를 발족한 뒤 ‘시민의 공공재’라는 취지에 맞춰 광화문글판을 운영 중이다. 지금까지 총 117편의 문안을 통해 시민들에게 희망과 사랑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im0123@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