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상승에 따른 투자 대기성 자금 유입 등에 9월 시중 통화량이 30조 원 가량 늘었다.
한국은행이 12일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9월 평균 광의 통화량(M2·평잔)은 4430조 5000억 원으로 전월 보다 30조 3000억 원(0.7%) 증가했다. 8월 오름폭(1.3%)보다는 줄었지만 6개월째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전년 동월 대비 보다는 8.5% 늘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이들 가운데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이 한 달 사이에 각각 9조 5000억 원, 6조 8000억 원 증가했다.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 및 투자대기성 자금 유입으로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MMF로 운용되던 기업자금이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수시입출식예금으로 유입되면서 은행 수신이 큰 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주식형 상장지수펀드(ETF)등 수익증권도 전월 보다 5조 7000억 원 늘어 증가세가 이어졌다.
경제 주체별로는 기업(+10조 3000억 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8조 9000억 원), 기타금융기관(+1조 8000억 원) 등에서 유동성이 늘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1330조 6000억 원)도 전월보다 1.4%(17조 8000억 원) 증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ooni@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