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출 문제를 외면하고 단순히 장기투자만 지속할 경우 향후 자산 인출 시점에 세금 폭탄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이경준 키움투자자산운용 ETF운용본부장은 10일 기자 간담회에서 “은퇴 시점에 맞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과 미국 배당주 ‘슈드(SCHD)’로 자동으로 전환되는 주식형 생애 주기 상장지수펀드(ETF)가 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키움운용은 ‘KIWOOM 미국S&P500&배당다우존스비중전환’ ETF와 ‘KIWOOM 미국S&P500 TOP10&배당다우비중전환’ ETF를 11일 출시한다. 각각 S&P500과 S&P500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에 75% 비중으로 투자하다가 은퇴 후에는 미국 배당주인 슈드로 전환해 배당 흐름을 확보하는 상품이다. 목표 은퇴 시점은 2040년으로, 2038년부터 2039년까지 매월 2.08%씩 성장형 자산을 줄이고 배당형 자산으로 자동 비중 전환이 이뤄져 2040년 이후에는 성장형 25%, 배당형 75% 구조로 전환된다.
키움운용은 절세 혜택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상품 내에서 자산 비중이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매매 차익에 대한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이 본부장은 “투자자는 별도의 매매 없이도 은퇴 시점까지 성장형 자산 운용 성과(세전 수익과 원금)를 그대로 배당형 자산으로 전환할 수 있어 현금 흐름 확보와 재투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주식과 채권으로 이뤄진 타깃데이트펀드(TDF) 대비 현금 흐름이 자유롭다는 점도 강점이다. 이 본부장은 “TDF는 은퇴 시점 이후에는 채권 중심 상품이 돼 현금 흐름에 대한 과제가 생긴다”며 “TDF의 채권 상품을 배당금이 나오는 월배당 ETF로 바꾼 것이 이번 상품의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키움운용은 향후 다양한 기초자산과 은퇴 시점에 맞춘 노후 준비 ETF 라인업을 확장해나갈 계획이다. 김기현 키움운용 대표이사는 “한국 사회는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이 노후 준비에 대한 구체적인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며 “다양한 투자자들에 맞는 상품을 지속적으로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ymjeong@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