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차기 대표이사(CEO)를 선임하는 절차에 착수한다. 4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차기 CEO 선임 추진 안건과 무단 소액결제 사태로 인한 고객 보상 대책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KT는 이날 이사회에서 차기 CEO를 선임하는 안건을 의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표이사 임기 만료 3개월 전까지 사내·외 대표이사 후보군을 구성하도록 하는 정관 규정에 따른 조치다. 이에 내년 3월 임기가 끝나는 김영섭 KT 대표가 연임에 도전할지 여부가 가장 큰 관심의 대상이다. 김 대표는 올해 발생한 무단 소액 결제 사고와 관련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사퇴 압박을 받은 바 있다. 당시 김 대표는 사퇴를 종용하는 국회의원들에게 “책임지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당시 김 대표는 “총체적 경영 책임이 있기 때문에 합리적인 수준의 책임을 질 것”이라며 “(사퇴를) 포괄하는 책임”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사회에서 입장을 명확하게 밝힐 예정”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김 대표가 4일 이사회에서 거취를 분명히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 대표의 거취 발표는 향후 KT CEO 선정 과정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김 대표의 임기는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까지다.
차기 대표 이사는 사외 이사 8명으로 구성된 이사 후보추천위원회가 주도한다. 사내이사는 위원회에 참여하지 않는다. 위원회는 사내외에서 후보군을 추천한 후 정기주주총회 공고 전까지 CEO를 확정해 주주총회에서 최종 선임한다. 사내 후보는 회사 또는 계열회사 재직 2년 이상, 부사장 이상 직급, 경영 전문성 및 KT 사업 이해도 보유 등의 조건을 충족할 경우 CEO에 지원할 수 있다. KT는 지난 2023년 6월 현직 대표가 연임을 원할 때 우선 심사를 받도록 하는 ‘대표이사 연임 우선 심사제’를 폐지했다. 이에 따라 현직 대표를 포함한 모든 후보자는 공개 공모를 통해 대표직에 도전해야 한다. 주주총회는 출석 주주 의결권의 5분의 3 이상과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찬성을 통해 최종 CEO를 결정한다.
한편 이번 KT 이사회에서는 무단 소액결제로 피해를 본 고객을 대상으로 한 보상 범위도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 KT는 지난달 21일부터 무단 소액 결제 피해 고객을 대상으로 한 위약금 면제와 유심(USIM) 교체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이사회에서는 피해가 확인되지 않은 가입자들도 보안 우려가 커지면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 만큼 전 고객을 대상으로 한 유심 무상 교체 여부를 논의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wise@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