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측이 자신에게 우호적이지 않은 내용을 다룬 유튜브 비판 보도를 차단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데 대해 반박했다. 최 위원장은 국회 국정감사에서 “(해당 보도 책임자인) 이상호 기자가 저에게 사과를 했다”고 했다.
최 위원장은 30일 국회에서 열린 과방위 종합감사에서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이 자신에 대한 비판 보도 개입 의혹을 제기하자 “이 문제제기도 국감 말미에 자료를 다 공개하겠다”며 “(고발뉴스TV 대표인) 이상호 기자가 저에게 사과를 했는데, 그 사과한 내용에 대해서도 녹취를 찾아서 국감이 끝나면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한겨레는 ‘또 드러난 최민희 갑질…’피감기관 방심위‘에 비판 보도 차단 문의’ 단독 보도를 통해 최 위원장실 관계자가 7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고발뉴스TV의 영상 기사에 대해 접속차단 등 처분이 가능한지 문의했다는 내용을 보도했다. 자신에 대한 불리한 보도를 차단하기 위해 피감기관인 방심위에 압력을 행사했다는 취지다.
이에 대해 박정훈 의원은 최광호 방심위 방송심의국장을 상대로 “일반 국민들에게도 유튜브에서 비판하는 내용을 삭제할 수 있는지를 그런 식으로 안내하냐”며 “최 위원장을 방어막 치는 것처럼 답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겨레 보도 뒤에 방심위 홍보팀장이 한겨레에 전화해서 반론을 반영해달라고 했다. 왜 최 위원장을 두둔하는 내용의 반론을 방심위가 요구하냐”고 비판했다. 박정훈 의원은 “해당 유튜브 기자도 이런 식의 언론 탄압을 받아본 적 없다고 분개한다”며 “(기자) 본인에게 항의해서 기사를 내렸다는데 최 위원장은 위원장 자리에 앉을 자격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같은 당 박충권 의원도 “인터넷 뉴스가 마음에 안 든다고 방심위에 비공식 루트로 차단 조치를 문의했다”며 “해당 기자에게는 압박해서 기사를 내리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공방과 관련해 최 위원장의 의원실 선임비서관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사실관계를 바로잡는다”며 “방심위 문의는 단순한 절차 확인 문의였다. 방심위의 국회 담당 직원에게 문의하며 카카오톡으로 10여분 정도 대화를 나눈 게 전부다. 별도의 신고나 조치 없이 문의를 종료했다”고 했다. 또 고발뉴스TV에 대한 압박 주장에 대해서도 “이상호 기자에게 보낸 이메일은 정중한 사실정정 요청이었다”며 “어떠한 위협도, ‘응하지 않을 시 대응하겠다’는 표현도 없었다. 정중한 어투로 사실 확인과 편집 요청을 드린 메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언론중재위원회 절차에 앞서 ‘정정보도 요청’이나 ‘사실확인 요청’을 당사자에게 먼저 시도하는 언론 대응의 통상적 절차”라고 덧붙였다.
한편 최 위원장에 대한 야당의 사퇴 요구가 거세지는 가운데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국감이 끝나고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이 마무리되는 다음 주쯤 당 지도부가 최 위원장의 해명 등을 공유하고 그에 대해 정리하는 시간이 있을 것 같다”고 했다. 다만 상임위원장직 사퇴에 대해서는 “결과가 어떻게 될지는 예단할 수 없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i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