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원자력 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미 정부가 자국 신규 원자로 건설 사업에 약 115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28일(현지 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웨스팅하우스를 공동 소유한 브룩필드 자산운용, 카메코와 이 같은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웨스팅하우스의 대형 원전 모델인 AP1000 원자로 건설 등을 위한 투자 약정이 핵심으로 미 행정부가 웨스팅하우스의 원자로 건설과 관련한 최소 800억 달러(약 114조 6000억원) 규모의 계약을 맺은 뒤 175억 달러(약 25조 원)를 초과하는 수익의 20%를 가져간다는 내용이다.
또한 미 행정부는 웨스팅하우스의 기업가치가 300억 달러(약 43조 원)를 초과하면 상장을 요구할 수 있고, 상장 시 미국의 납세자들은 기업 지분의 20%를 갖게 된다. 원자로 건설을 위해 미국 납세자들이 얼마를 지출할지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고 WP는 전했다.
이번 원자로 건설 사업은 일본의 투자도 일부 받을 예정이다. 일본 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방일에 맞춰 지난 28일 발표한 ‘미일 간 투자에 관한 공동 팩트시트’에 따르면 일본 기업들은 AP1000 원자로 건설 등 웨스팅하우스의 사업에 1000억 달러(약 144조원)를 투자할 의향을 보였다.
크리스 라이트 미 에너지부 장관은 성명에서 이번 협약이 "미국의 에너지 역량을 최대한 강화하고 글로벌 인공지능(AI) 경쟁에서 승리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위대한 비전을 펼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원자력 산업 육성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원자력 산업에 을 싣는 이유는 전력 확보가 차세대 기술 경쟁력을 위한 필수 요소이기 때문이다. WP는 “원자로는 성공적으로 운영될 경우 80만 가구 이상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충분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며 “데이터 센터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빅테크 기업과 정부에서 인공지능(AI) 혁신 발전의 핵심 요소로 여긴다”고 설명했다.
다만, 투자와 관련해 대규모 비용 초과 및 일정 지연 우려도 나온다. 미국에서 건설된 마지막 AP1000 원자로는 2024년 조지아주에 설치됐는데, 비용이 당초 예상액의 두 배에 달했고, 추가 비용 170억 달러(약 24조3800억 원)까지 나왔다. 완공일도 당초 예정됐던 일정보다 7년 늦어진 것이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핵심 분야 기업에 대한 정부 투자를 통해 지분을 확보하는 방식의 산업 육성 전략을 펴고 있다. 올해 8월 트럼프 행정부는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때 인텔에 주기로 약속한 지원금의 대가로 이 회사 지분 10%를 받기로 했다. 앞서 7월에는 미국 최대 희토류 생산업체 MP머티리얼스는 미국 국방부가 이 회사에 4억 달러를 투자해 15%의 지분을 취득하고 최대주주가 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6월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과정에선 US스틸의 중요 경영 사항과 관련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황금주를 확보했다. 웨스팅하우스 관련 협약도 이 전략의 연장선이라는 분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song@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