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00조 원 규모의 민관 합동 펀드인 국민성장펀드를 통해 내년에 저리 대출과 인프라 투자에 각각 7조 원가량을 투입하기로 했다.
1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 당국은 2026년 예산안에 이 같은 내용의 국민성장펀드 운용 계획을 포함했다.
국민성장펀드는 정부 주도의 첨단전략산업기금 50조 원, 민간자금 50조 원을 마련해 인공지능(AI)과 첨단산업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30년까지 매년 20조 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내년 인프라 분야 투융자를 위해 6조 70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필요한 자금 대부분은 민간자금(5조 6000억 원)을 끌어와 마련한다. 정부 예산 4000억 원으로 후순위 보강을 해 민간투자자의 손실 부담을 줄인다. 금융 당국의 한 관계자는 “민간투자자들을 손실 위험이 작은 선순위 투자자로 끌어들이기 위해 정부 예산이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정부가 후순위가 되면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규모 설비투자를 지원하기 위한 저리 대출 프로그램도 6조 7000억 원 규모로 운용한다. 한국산업은행이 첨단전략산업기금채권을 발행해 대출 재원을 전액 마련한다. 대출금리는 국고채 수준으로 책정할 예정이다. 대출 지원 산업은 △반도체 △2차전지 △백신 △디스플레이 △수소 △미래차 △바이오 △AI △방산 △로봇 등으로 구체화했다.
인프라 분야 외 간접투자를 위한 4조 6000억 원 규모의 펀드도 별도로 운용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민간자금 3조 4000억 원을 확보할 계획이며 4000억 원의 정부 예산을 투입해 후순위 투자를 진행한다. 이외에 지분 투자 같은 직접투자 명목으로 2조 원이 책정됐다. 민간과 정부가 필요 자금을 절반씩 분담한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중소·벤처기업은 장기 지분 투자 중심으로 지원하고 설비투자를 위한 대규모 자금은 저리 대출을 하는 식으로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며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금융권이 적극적인 자금 지원에 나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