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방사선 검사 건수가 지난해 처음으로 4억 건을 넘겼다. 국민 1인당 8건꼴로 5년째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실손보험 청구 과정에서 근골격계 도수치료 등을 위해 진단 촬영이 필요해지면서 검사 수요가 일부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4년 의료방사선 검사는 총 4억 1270만여 건으로 전년보다 3.5% 증가했다. 인구수로 환산하면 국민 1인당 8건으로, 2020년 5.9건에서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검사 유형별로는 일반촬영이 3억2,100만여 건(77.9%)으로 가장 많았고 치과촬영(12.1%), 유방촬영(4.5%), CT(3.8%) 순으로 집계됐다. 피폭선량 기준으로는 CT가 전체의 67%를 차지해 건당 노출이 가장 큰 검사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실손보험 제도가 방사선 검사 증가세에 일정 부분 영향을 끼쳤다고 본다. 근골격계 환자가 도수치료를 받으려면 진단서 발급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방사선 촬영이나 CT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실손보험 청구 요건 충족을 위해 촬영을 하는 사례가 누적되면서 전체 건수를 끌어올린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국민 1인당 연간 피폭선량은 3.13mSv로, 세계 평균(0.57mSv)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국민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의료방사선 검사를 꼭 필요한 경우에만 실시하여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방지해야 한다”며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의료방사선이 안전하고 적정하게 사용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