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불볕더위가 이어지면서 온열질환자 수가 급증해 4000명을 넘어섰다. 최악의 폭염이었던 2018년에 이어 두 번째 기록이다.
2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날 기준 신고된 누적 온열질환자 수는 4033명, 추정사망자 수는 26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온열질환자 수는 3155명이었는데 올해는 벌써 4000명을 넘어섰다.
온열질환은 고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땀을 흘리지 않는데도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치솟고 의식을 잃을 수 있는 열사병, 피로·근육경련을 동반하는 열탈진, 일시적 의식 소실을 보이는 열실신, 손발이 붓는 열부종 등이 있다. 특히 고령자, 고혈압·당뇨병 등 만성질환자, 신장투석 환자 등은 체온조절 기능이 떨어져 온열질환에 취약하다. 질병관리청은 이들에게 낮 시간대 외출을 자제하고 수분 섭취와 환기, 충분한 휴식을 생활화하도록 권고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6월 말부터 고온 환경이 조기에 장기간 이어지면서 환자 수가 크게 늘었다”며 “기상청이 이달 말 낮 기온을 최대 34도로 전망한 만큼 물 마시기, 더위 피하기 등 기본적인 건강수칙을 반드시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