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는 국민 누구나 일상과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모두의 인공지능(AI)’을 만들겠습니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클로바 기술총괄은 14일 경기 성남시에 있는 네이버 사옥 그린팩토리에서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모두의 AI로 국가 발전에 기여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모두의 AI를 실현하기 위해 ‘옴니모달리티(Omnimodality)’ AI 모델 개발을 핵심 전략으로 내세웠다. 이 모델은 텍스트·이미지·오디오·비디오 등 이종 데이터를 통합 이해·생성한다. 지역·문화 등 다양한 맥락까지 이해하는 AI를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성 총괄은 “범국민 AI는 묻지 못하는 이의 질문까지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며 “옴니 모델은 사진, 음성, 스마트글라스 등을 입력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옴니 모델은 피지컬 AI 구현의 근간이 될 것”이라며 “국가 산업 경쟁력도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클라우드 특화 AI 에이전트가 서로 연결되는 개방형 혁신 플랫폼 ‘AI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를 운영하며 AI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구상이다. AI 전환이 더딘 전통 산업을 스타트업과 연결해 AI 에이전트 개발을 지원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성 총괄은 “사람마다 AI 에이전트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네이버 스마트스토어가 판매자의 IT 진입장벽을 낮춰 이커머스를 키웠듯 AI 개발·배포를 쉽게 만들어 AI 시장을 넓히겠다”고 말했다.
네이버의 이러한 자신감은 모든 영역을 아우르는 진정한 ‘풀스택’ 역량에 기반하고 있다. 실제 세계에서 세 번째로 초거대 AI를 개발할 정도로 자체 기술 역량을 갖췄다. 아울러 네이버를 비롯해 실리콘밸리 영상 멀티모달 AI 스타트업 트웰브랩스, 한국과학기술원(KAIST)·서울대·포항공대(POSTECH)·고려대·한양대 등 국내 유수 대학·연구기관과 컨소시엄도 구성했다. 아마존웹서비스(AWS)·엔비디아·스노우플레이크 등 글로벌 빅테크의 러브콜을 받고 있을 정도로 인정받는 트웰브랩스가 데이터 분야를 담당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향후 컨소시엄에 다른 기업이나 기관도 추가할 예정이다.
성 총괄은 소버린 AI가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는 핵심 과제라고 설명했다. 한국 산업 생태계에 맞는 AI가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동시에 민감 정보의 해외 유출을 막는다고 봤다. 타국 AI에 의존하면 국부 유출도 심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AI는 핵개발에 준하는 전략 영역으로 갈 것”이라며 “선도국이 AI 기술을 축적하면 후발주자 진입을 차단하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GDP의 7~20%가 AI 트래픽에 소모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는 만큼 내재화해야 한다”며 “한국이 AI 3대 강국(G3)으로 도약하는데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여기에 국가대표 AI 모델을 기반으로 글로벌 진출도 본격화한다. 사우디·태국·일본 등에서의 소버린 AI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K-AI 글로벌 수출 모델을 확립한다. 단순히 모델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센터·클라우드·서비스를 묶은 ‘AI 생태계 패키지’를 수출하는 방식이다. 성 총괄은 “원전·방산 수출처럼 패키지 제공으로 차별화하겠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