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000660) 고대역폭 메모리(HBM) 사업 담당 임원이 2030년까지 HBM시장 성장률이 연 평균 30%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공급이 수요를 넘어서 HBM시장 성장률이 둔화할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를 불식시킨 것이다.
최준용 SK하이닉스 HBM사업기획 부사장은 10일(현지시간) 외신 인터뷰에서 “최종 사용자의 AI 수요는 매우 확고하고 강력하다”며 HBM 등 인공지능(AI)용 특수 메모리 칩 시장이 2030년까지 연간 30% 성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최 부사장은 “빅테크들의 AI 인프라 투자와 HBM 수요 간에는 직접적인 상관 관계가 있다”며 빅테크들의 AI 투자가 계속 늘고 있는 만큼 HBM 시장도 계속 성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업계에선 HBM 시장의 성장률이 둔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는 이를 최 부사장이 반박한 셈이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HBM3E 제품은 수요 성장 속도를 상회하는 공급 증가로 수급 변화가 예상돼 시장 가격에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삼성은 또 HBM3E와 범용 D램 간 수익률 격차가 빠르게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금융투자업계도 SK하이닉스의 HBM 시장 점유율이 더 증가하기는 어렵다는 전망을 제시해왔다.
그러나 SK하이닉스의 HBM 사업을 주도하는 최 부사장은 시장 확대 및 공략에 대한 자신감을 강조했다. 메모리 접근과 제어를 담당하는 베이스다이의 중요성이 커지며 범용 HBM이 통용됐던 이전 세대와 달리 HBM4는 고객 맞춤형 전략이 중요해지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는 복잡해지는 베이스다이 제조를 위해 HBM4부터는 대만 TSMC와 협력하고 있다.
최 부사장은 “고객들이 SK하이닉스가 이미 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맞춤화를 원할 가능성이 있다” 면서 “각 고객마다 취향이 달라 일부는 특화한 성능이나 전력 특성을 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고객에게 올바른 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제공할 자신이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