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 청구 전산화가 올 10월 25일부터 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 약 9만 6000곳에서 확대 시행된다.
금융위원회는 7일 금융감독원과 보험개발원, 생·손보협회 등과 유관기관 점검회의를 열고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시스템인 ‘실손 24’ 참여 및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실손24는 별도의 서류 발급 없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실손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는 전산 시스템이다.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는 지난해 10월 25일 병원급 의료기관과 보건소(1단계)를 대상으로 우선 시행됐다. 올해 10월 25일부터는 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2단계)까지 참여 대상이 늘어난다.
1단계 참여율은 약 59.1%로 5일 현재 약 6757개 의료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2단계 시행 대상인 의원·약국 등에도 선제적인 참여를 독려 중인데 아직 2단계 참여율은 약 2.2%다.
금융 당국은 참여 병원을 소비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 플랫폼과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미참여 요양기관에 소비자가 참여를 요청하는 기능을 신설했다. 보험 업계는 청구 전산화 참여 요양기관 및 전자의무기록처리(EMR) 업체에 서버비와 시스템 개발비, 인센티브 성격의 확산비, 유지보수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금융 당국은 실손24를 운영하는 요양병원과 EMR 업체에 대해서는 민간 손해보험사가 제공하는 책임보험료나 화재보험료를 할인하는 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신용보증기금과 같은 정책보증기관을 이용할 경우 보증료를 깎아주는 방안도 살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