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바이오 업계의 기술이전 규모가 20조 원을 넘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상반기에만 9건, 12조 원 규모의 기술이전에 성공했는데 하반기에는 이를 뛰어넘는 성과를 낼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
다만 만성적인 자금난으로 연구개발(R&D)에 어려움을 겪는 바이오 기업들이 여전히 많았다. 유망한 신약 후보 물질을 보유하고도 초기 개발 단계인 전임상이나 임상1상에서 조기 기술이전을 선택하는 이유다. 새 정부가 K바이오의 기술이전을 독려하고 바이오 생태계를 키우기 위해 자금 지원과 규제 개선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6일 서울경제신문이 한국바이오협회와 올 하반기 기술이전 및 신약 개발 현황 등을 공동 조사한 결과 110개 기업 가운데 하반기에 기술이전 1건 이상 가능하다고 답한 곳은 30개, 2건 이상 14개, 3건 이상도 2개로 나타났다. 특히 3조 원 이상 초대형 기술이전이 가능하다고 답한 곳도 2개였다. 1조 원 내외의 기술이전이 가능하다는 곳은 14개였다. 이번 조사 결과의 절반가량만 실제 기술이전이 이어져도 하반기에 10조 원에 가까운 성과를 올리게 된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올 상반기 총 9건에 12조 862억 원을 기술이전해 2021년 이후 처음으로 상반기 10조 원 돌파라는 기록을 세웠다. 하반기에도 주요 바이오 기업들의 기술이전 가능성이 큰 만큼 연간 역대 최대치인 같은 해 15조 9675억 원은 물론 20조 원도 훌쩍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만성적 자금난에 따른 조기 기술이전은 K바이오가 극복해야 할 과제다. 조사 대상 기업의 67.3%가 전임상 또는 임상1상의 조기 기술이전을 고려하고 있으며 자금난으로 R&D를 사실상 포기할 생각을 했다고 답한 곳도 80%에 달했다. 기술이전을 하려는 이유도 ‘자체 개발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41.8%)’ ‘개발 리스크 감소(23.6%)’ 등으로 답해 자금난 해소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K바이오는 만성적인 자금난과 이에 따른 상장폐지 위기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눈부신 성과를 내고 있다”며 “새 정부가 출범한 만큼 K바이오 생태계 활성화와 선순환을 위한 파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