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보건당국이 산하 생물의료연구기관을 통해 추진해 온 mRNA 백신 개발 사업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기로 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수십억 달러를 투입하며 핵심 백신 개발을 지원했던 해당 부처가 정책 기조를 대폭 전환하는 것이다.
보건부는 5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백신·의약품 개발을 지원하는 ‘생물의학첨단연구개발국(BARDA)’의 mRNA 백신 관련 사업을 순차적으로 종료한다고 밝혔다. 이 조치에는 모더나의 인간용 조류독감 백신 후기 개발과 정부의 구매권을 포함한 계약 취소가 포함된다.
보건부는 화이자, 사노피 파스퇴르, CSL 시퀴러스, 그릿스톤 등 다수 기업이 제출한 사전 제안도 거부하거나 취소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결정으로 영향을 받게 된 것은 22개 프로젝트로 총 5억 달러(약 7000억 원) 규모다.
보건부는 이번 조치가 코로나19 공중보건 비상사태 기간에 이뤄진 mRNA 투자에 대한 전면 재검토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장관은 “데이터상 mRNA 백신은 코로나19나 독감처럼 상기도 감염에 대해 충분한 예방 효과를 보이지 못한다”며 “바이러스 변이에 대응력이 유지되는 더 안전하고 범용적인 백신 플랫폼에 예산을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 과학적 근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백신 회의론자인 케네디 장관은 취임과 동시에 백신 정책을 제한하는 조치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지난 5월에는 X(구 트위터)를 통해 임산부와 어린이에게 코로나19 백신을 권고하는 안을 삭제하는 등 전면적인 백신 정책 변경을 발표했다. 이후 지난 6월 질병통제예방센터 산하 예방접종자문위원회 위원 17명을 전원 해임하는 등 잇단 ‘反백신’ 행보를 보여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