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장기 등을 기증한 사람이 전년 대비 11%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장래 뇌사 상태에 빠지거나 사망했을 때 장기를 기증하겠다는 의향을 나타낸 사람도 15% 가까이 줄었다. 반면 장기이식을 기다리는 사람들은 계속 늘어나는 가운데 장기기증이 위축되면서 평균 6년까지 기다려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자들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다.
5일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의 ‘2024년도 장기 등 기증 및 이식 통계 연보’를 보면 지난해 장기 등을 기증한 사람은 전년에 비해 11.3% 줄어든 3931명이었다. 장기 등은 신장, 간장, 췌장, 심장, 폐, 췌도, 소장, 말초혈(조혈모세포 이식 목적), 골수, 안구, 손·팔, 발·다리 등을 가리킨다.
조혈모세포 기증자를 제외하면 기증자가 더 두드러지게 줄었다. 뇌사자 기증은 483명에서 397명으로 17.8%, 사후 기증은 38명에서 10명으로 73.7% 각각 감소했다. 생존자 간 기증자도 2339명에서 15.3% 감소한 1980명이었다.
장기 기증자가 줄어든 만큼 이식 건수도 15% 줄어든 5054건에 그쳤다. 사후 기증 이식은 71%나 줄었고 뇌사자 기증에 따른 이식과 생존자 이식도 각각 22.9%, 15.3% 감소했다. 조혈모세포 이식은 1544건으로 소폭(1.7%) 감소했다.
미래에 장기를 기증하겠다고 등록한 사람은 7만563명이었다. 1년 전에 비해 15.4% 줄어든 수치다. 장기 기증을 희망한다고 등록한 누적 인원은 183만8530명으로 3.1% 늘었다.
반면 장기기증이 위축된 사이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는 늘었다. 장기 등 이식 대기자는 작년 말 기준 5만4789명으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 조혈모세포·안구 등을 제외할 경우에는 올해 4월말 기준 4만5595명이다.
장기를 이식 받기 위해 기다려야 하는 기간은 평균 2193일로 약 6년에 달했다. 췌도와 소장의 경우 대기 기간이 각각 11.5년, 9.8년으로 상대적으로 더 길었다. 인구 100만명 당 뇌사 기증자 수를 의미하는 뇌사 기증률은 지난해 7.75명으로 1년 전보다 1.66명 감소했다. 우리나라 뇌사 기증률은 미국(49.7명), 스페인(47.95명), 이탈리아(29.47명), 영국(19.22명), 독일(10.94명) 등에 비해 현저히 낮다.
반면 생존 시 기증률은 지난해 38.67명으로 미국(20.57명), 영국(14.35명) 등 주요국보다 높았다. 생존 시 기증은 대부분 배우자, 직계 존·비속, 형제자매, 방계혈족, 인척간에 이뤄졌고 타인 지정(27명), 교환 이식(2명), 순수 기증(1명)은 소수에 그쳤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장기 기증 희망 등록은 해마다 증감이 있고 올해는 조금 늘어나고 있다”며 “장기기증이 더 활성화될 수 있도록 수가 조정, 홍보 계획 등을 담은 5개년 종합 계획을 9월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장기이식법은 복지부가 5년마다 장기 등의 기증·이식에 관한 종합계획을 수립·추진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올해가 종합계획을 세우는 첫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