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기업은행이 미국의 관세 부과와 경기 침체에 자금난을 겪는 중소기업을 위해 약 4조 원 규모의 자금을 추가로 공급하기로 했다.
5일 금융계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올 하반기 약 4조 원 규모의 중기 대출 자금을 추가 지원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당초 기업은행의 올해 연간 공급 목표치는 증가액 기준 12조 원이다. 상·하반기에 각각 7조 원, 4조 원 이상을 공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시중은행의 중기 대출 외면에 기업은행으로 자금 수요가 쏠리면서 올해 들어 6월까지 늘어난 대출금만 11조 3000억 원에 달했다. 연간 목표액 대부분이 상반기에 집행된 것이다.
기업은행은 대출 문턱을 높이면 중기 자금난이 커질 수 있다고 보고 연간 목표와 무관하게 하반기 공급 계획을 이행하기로 했다. 연간으로 넓혀보면 기존에 계획한 금액보다 4조 원 더 많은 16조 원을 공급하게 되는 셈이다. 기업은행의 한 관계자는 “실제 대출 취급액이 목표액을 넘어서더라도 중소기업 정책금융 지원이 적극적으로 필요한 시기에는 중기 대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은행은 중기 자금 공급을 위한 1700억 원 규모의 민관 펀드도 신설할 계획이다. 기업은행이 약 700억 원을 출자해 마중물 역할을 한다. 펀드는 사업 분야를 확대하거나 설비투자를 늘리려는 중소·중견 기업을 지원하는 데 주로 쓰인다.
기업은행이 중기 지원을 확대하는 것은 시중은행들이 관련 대출을 죄고 있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실제로 올 1~6월 은행권 전체의 중소기업 대출 순증 규모는 13조 80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8조 3000억 원)과 비교해 51% 급감했다. 은행권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부실 우려가 커지자 대출을 줄여나간 것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시중은행이 신규 중기 대출을 거절하거나 기존 대출금리를 높이는 식으로 고객을 밀어내자 그나마 대출 문이 열려있는 기업은행으로 대출 수요가 쏠리고 있는 것”이라며 “정부가 은행권에 기업대출을 늘리라고 하지만 중기 대출은 연체율 관리 부담이 커 과감하게 늘리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기업은행이 중기 지원을 확대하면서 건전성 관리 부담은 커질 것으로 보인다. 기업은행의 6월 말 연체율은 0.93%로 2011년 9월(0.99%) 이후 약 1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평균 연체율(0.5%)보다 2배가량 높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