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BYD 등 국내 판매되는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구매보조금이 국내 완성차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 가격이 기준에 맞지 않게 높거나, 주행거리·에너지 효율 등 차량 성능이 부족한 탓으로 풀이된다.
5일 환경부에 따르면 테슬라코리아가 판매 중인 모델3와 신형 모델Y의 국고보조금은 RWD 모델 기준 각각 186만 원, 188만 원으로 책정됐다. 모델3 퍼포먼스 모델은 187만 원, 모델3 롱레인지 모델은 202만 원이다. 신형 모델Y 롱레인지 모델은 207만 원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환경부는 차량의 기본가격, 차급, 차량의 연비와 주행거리, 저공해차 보급 목표 달성 실적 등을 고려해 보조금을 차등 지원하고 있는데, 기준에 미치지 못한 결과다. 실제 모델3의 경쟁 차종인 기아(000270) EV6과 현대차(005380) 아이오닉5는 각각 스탠다드 모델 기준 582만 원, 561만 원의 국고보조금이 책정됐다.
비야디(BYD)나 볼보 등 중국에서 차량을 생산해 국내에 들여오는 브랜드들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BYD의 첫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아토3는 현재 145만 원의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하반기 출시 예정인 중형 세단 ‘씰’의 보조금도 200만 원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볼보의 EX30의 보조금은 247만 원이다.
낮은 보조금에도 불구하고 테슬라의 판매량은 상승 추세다. 한국수입차협회에 따르면 테슬라는 올 6월까지 누적 1만 9212대를 국내에 판매했다. 전체 전기차 수입량(3만 2420대) 중 59.2%에 달하는 점유율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부터 테슬라가 국내 판매 제품 전량을 중국에서 생산해 들여오고 있지만 시장에서의 성장세는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테슬라가 적극적인 프로모션에 나서고 있는 것이 성장세의 배경으로 꼽힌다. 다음달 30일까지 모델3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제로 프로모션’이 대표적이다. 최대 60개월까지 무이자 할부로 차량을 구매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수백만 원의 이자 비용을 아낄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