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즉답 대신 단계별 답변으로 학습을 돕는 챗GPT ‘공부 모드’를 내놨다. 인공지능(AI)이 교육 현장을 붕괴시킨다는 비판에 ‘학습 도구’로 대응하는 한편 급격히 성장 중인 AI 교육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이 엿보인다.
29일(현지 시간) 오픈AI는 해답을 제공하는 대신 단계별 가이드로 문제 해결을 도와주는 챗GPT 공부 모드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공부 모드는 숙제를 해결해주는 대신 문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적인 유도 질문을 내놓아 학생들이 ‘생각’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학생의 참여와 상호작용을 이끌 뿐만 아니라 이해도에 맞춰 응답 수준도 조정하는 ‘개인화 선생님’이다.
오픈AI는 “챗GPT는 세계적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학습 도구가 되고 있고 학생들이 챗GPT를 활용해 숙제를 풀고 시험을 준비하고 새 개념을 탐색한다”며 “하지만 챗GPT 사용과 실제 학습 지원 여부, 학생 이해를 돕지 않고 답만 제시한다는 점 등에 대한 교육계의 의문이 있어 공부 모드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공부 모드는 상호작용 대화를 통해 ‘소크라테스식 질문’과 해법을 향하는 단서를 던진다. 주제 간 연결성을 고려한 답변을 내놔 학생이 흐름을 따라가기 쉽도록 했다. 또 이전 대화 내용을 기억해 맞춤형 수업을 제공하고, 퀴즈 및 주관식 질문을 만들어주기도 한다.
개발에는 교사·과학자·교육학 전문가 등이 참여해 ‘학습 과학’이 적용됐다. 또 설계 단에서 대학생 수준 사용자를 고려해 제공할 수 있는 학습 수준도 높다. 나아가 문자 기반 개념의 시각화, 심층적인 맞춤화 등 신기능을 개발 중이라고 한다. 리아 벨스키 오픈AI 교육 부문 부사장은 “챗GPT가 가르치거나 튜터 역할을 하면 학업 성과를 크게 높일 수 있지만 단순히 정답 기계로만 사용된다면 학습을 방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오픈AI는 공부 모드로 교육 시장 공략에 속도를 더할 전망이다. 최근 테크계는 초·중등은 물론 대학과 연구소 등 고등 교육, 연구 기관 내 AI 도입을 지원 중이다. 오픈AI는 올 2월 캘리포니아주립대(CSU) 학생과 교수진 50만 명에게 챗GPT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4월에는 앤스로픽이 고등 교육에 특화한 ‘클로드 포 에듀케이션’을 내놨다. 구글도 공립학교와 대학에 AI 도구를 제공하기로 했다. 8일 미국교사연맹(AFT)이 뉴욕 맨해튼 뉴욕시 교사노조(UFT) 본부에 설립한 ‘AI 교육 국가 아카데미’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AI, 앤스로픽 등이 총 2300만 달러를 지원했다.
백악관도 교육 현장 내 AI 도입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 4월 AI 교육 태스크포스를 설립하고 학계의 AI 도구 활용에 대한 민관 협력을 촉구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AI로 교육 현장을 혁신하고자 하는 미 정부·학계의 요구와 장기적으로 학생들의 AI 친숙도를 높이는 한편 공공기관 매출을 확보하겠다는 기업 전략이 맞물린 결과다. 오픈AI는 “스탠퍼드대 등과 협력해 AI가 의무교육(K-12) 영역에서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며 “AI를 교육에 최적 적용할 방법을 찾아 글로벌 학습자에게 AI의 이점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AI 도입으로 전통적인 교육 체계가 기능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은 바 있다. 그는 한 팟캐스트에서 자신의 어린 자녀가 “아마도 대학에 가지 않을 것”이라며 "이미 많은 사람들이 대학이 효과적으로 기능하지 않는다고 느끼고 있으며 18년 후에는 지금과 매우 다른 모습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올트먼은 스탠퍼드대 중퇴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