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무, 알리 익스프레스 등 중국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해본 국내 소비자 절반 이상이 가격이 높더라도 국내 쇼핑몰을 선호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18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 따르면 최근 공개된 ‘중국 유통 플랫폼의 글로벌 확장과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의 54.8%가 “가격이 비싸도 믿을만한 국내 쇼핑몰을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지난 1월 KISDI는 3개월 내 알리, 테무, 쿠팡 등 이용 경험이 있는 20∼69세 소비자 12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쿠팡 이용률이 85.1%로 가장 높았고 네이버 스마트스토어(75.5%)가 뒤를 이었다. 반면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는 20~30% 수준에 그쳤다.
소비자들이 중국 쇼핑몰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저렴한 가격(70%)’이었다. 쿠팡은 ‘빠른 배송(74.1%)’이 가장 큰 경쟁력으로 꼽혔다. 응답자의 60.9%는 “국내 쇼핑몰 상품 품질이 중국보다 우수하다”고 평가했으며 67.7%는 “품질이 유사한 경우 중국 쇼핑몰 가격이 더 저렴하다”고 답했다.
주목할 점은 중국 쇼핑몰 이용 경험자 60.7%가 상품 문제나 불만족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이 중 15.5%는 고객센터에 문의했으나 해결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테무 이용자 절반 이상은 ‘품질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중국 플랫폼의 국내 시장 진출이 물류·유통·제조·플랫폼 생태계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알리익스프레스의 국내 물류망 구축으로 국내 물류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이 축소될 위험성을 지적했다. 중국 플랫폼이 물류 주도권을 확보하면 국내 인프라가 하도급화되거나 플랫폼 종속 구조로 재편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또한 중국산 초저가 제품이 소액 면세 기준을 활용해 대량 유입되면서 국내 중소 유통업체들이 가격 경쟁에서 밀려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장기적으로는 내수 기반 제조업체들의 생존이 위협받으며 산업 공동화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아울러 개인정보 처리와 알고리즘 투명성, 가짜 리뷰 문제 등 플랫폼의 책임성과 공정성 문제도 복합적으로 제기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