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일본산 자동차에 부과하는 25%의 고율 관세를 협상 대상에서 제외하자, 일본 정부가 ‘역수입' 카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현지에서 생산된 일본 브랜드 차량을 다시 일본으로 들여오는 방식으로, 대미 무역적자 축소를 압박하는 미국 측 요구에 부응하면서도 자국 산업을 보호하겠다는 전략이다.
14일(현지시간) 마이니치신문은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일본 미국에서 생산된 일본 브랜드 차량을 역수입하는 방안을 협상 카드로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은 이미 1990년대 미일 무역 마찰 당시에도 미국 내 생산 차량을 자국에 들여와 판매한 전례가 있다. 당시 일부 모델은 안정적인 판매세를 보이기도 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미국 빅3 자동차는 일본 내 수요도 적고, 마케팅 노력도 부족하다”며 “미국 현지에서 생산된 일본 차량이라면 시장성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논의는 지난 1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미일 2차 관세 협상 직후 시작된 것으로 전해진다. 일본 측은 자동차 관세 철폐와 함께 수입차 안전기준 완화 등의 제안을 꺼내들었지만, 미국 측은 철강·알루미늄(25%)과 자동차(25%) 관세는 “협상 불가”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특히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한 ‘상호관세’ 중 일본에 부과한 14%의 추가분만 조정 가능하다고 밝혔으며, 기본 10%의 관세는 전 세계 공통이므로 조정 대상이 아니라고 선을 그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대미 무역에서 자동차가 핵심 수출 품목인 일본은 관세 협상에서 자동차 관세에 민감할 수 밖에 없다. 일본 재무성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전체 대미 수출액 21조2951억엔(약 202조원) 가운데 자동차 수출이 6조261억엔으로 28.3%를 차지했다. 여기에 자동차 부품(1조2312억엔)을 포함하면 전체 3분의 1이 넘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