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흘째 영남을 훑고 있는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4일 보수 텃밭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강하게 비판하며 지지층 결집에 주력했다. 또 경남 지역 기반 산업인 항공우주산업 육성과 과학기술 진흥을 공약하며 2032년 달 착륙과 2034년 화성 탐사를 목표로 한 우주경제 로드맵도 제시했다.
김 후보는 이날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을 방문한 후 기자들과 만나 이 후보가 ‘위기 극복 총사령관’을 자처하는 데 대해 “본인이 위기의 진앙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자기 스스로 발사한 위기가 얼마나 많았냐”고 쏘아붙였다. 민주당의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와 특검 추진, 이 후보에 대한 ‘면소(법 조항 폐지로 처벌할 수 없음)’ 가능한 공직선거법 개정 등을 거론한 그는 “이재명을 위한, 이재명에 의한, 이재명의 독재와 독주”라며 “세계를 자기 중심으로 바라보고 권력을 행사하는 건 아니지 않느냐”고 비판했다. 그는 밀양 유세에서는 “대통령뿐 아니라 대법원장과 검사를 탄핵하면 이게 독재지 뭐가 독재냐”며 “이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김정은 독재, 시진핑 독재, 히틀러 독재가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식 선거운동 초반 사흘 동안 핵심 지지 기반인 대구·경북(TK)과 부산·경남(PK)에 머물고 있는 김 후보는 이 후보와 민주당의 ‘입법 독주’를 부각시키며 보수층 결집을 꾀했다는 분석이다.
앞서 김 후보는 항공우주산업이 밀집한 진주 유세에서 ‘과학기술 대통령’을 표방하며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그는 “항공우주기술과 산업을 세계 제일로 키워내자”며 “제가 대통령이 되면 ‘과학기술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어 “비행기만 잘 만드는 게 아니라 발사체도 잘 만들어 달나라부터 화성·우주로 가는 위대한 진주와 사천·경남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칭송도 이어갔다. 그는 “포스코 제철부터 자동차·조선·K방산을 다 만들어낸 분이 박 전 대통령”이라며 “박 전 대통령이 과학기술자가 아니지만 과학기술의 소중함을 알고 세계 최고의 전문가들을 길러냈다”고 치켜세웠다.
김 후보는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을 만난 자리에서 항공우주 분야에 대한 예산을 현재의 10배 수준으로 늘리겠다고 공약했다. 윤 청장이 “약 1조 원 규모의 항공우주 예산을 2조 원으로 늘리면 한국의 우주개발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라고 요청하자 김 후보는 “2조 원이 아니고 10배 정도 늘려 획기적 지원을 할 수 있는 정부가 되겠다”고 화답했다. 이어 “공짜로 10만 원씩 나눠주면 13조 원인데 항공우주 분야에 집중 지원하는 게 대한민국의 미래”라며 이 후보의 핵심 공약인 지역화폐를 비판했다.
김 후보는 항공정비 업체인 한국항공서비스와 국내 대표 원전 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도 찾아 애로 사항을 청취했다. 김 후보는 “우리의 미래를 열어가는 세계적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며 “좋은 기술이 있음에도 정치적 난관에 부딪혔지만 절대 굴하지 않고 끝까지 잘 극복해냈다”고 격려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한 원전 업계의 어려움을 꼬집은 것이다.
한편 국민의힘 정책총괄본부는 이날 김 후보의 경남 유세와 보조를 맞춰 우주·과학기술 공약을 발표했다. 이 가운데 2027년까지 발사체 엔진을 개발하고 2032년 달 착륙과 2045년 화성 탐사에 나선다는 ‘우주경제 로드맵’이 눈에 띈다. 또 국가 예산 지출의 5% 이상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하고 과학기술 부총리 및 과학특임대사 신설도 공약했다. 국가전략기술 R&D 예산을 5년 내 10조 원 규모로 확대하고 R&D 예비타당성조사를 폐지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정책총괄본부장인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우주·과학기술인들이 더 좋은 환경에서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해 그 결실이 국민의 삶을 편리하게 바꾸고 세계 5대 과학기술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